국내 철도화물운송사업자가 대륙철도 수송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선 중국 및 러시아 철도공사, 민간기업 등 현지 철도사업자와의 합작방식이 최적의 조건이란 주장이 나왔다.
지난달 28일 무역센터 대회의실에서 열린 <대륙철도를 활용한 유라시아물류> 세미나에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안승범 교수는 “철도산업은 반독점이란 특징을 지니고 있는 국가기간산업이어서 동북아에서 선로사용권과 운영권을 따내기 위해선 외교적인 문제가 먼저 해결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지의 선로사용권을 얻기 위해선 현지 국영철도를, 재원과 물동량확보를 위해선 민간기업을 합작투자의 주체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안 교수는 덧붙여 우리나라도 철도 인프라 기술과 운영능력을 갖춘 철도공사가 함께 해외에 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철도산업의 해외진출은 화주기업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제조기업들의 해외진출에서 그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현재 삼성전자나 LG전자, LG필립스, SH볼쇼이, 카스 등 한국 제조기업 21곳이 러시아 모스크바와 블라디보스토크를 비롯해 체코, 우즈베키스탄 등 동유럽국가에 진출해 있다. 또 중국의 경우 베이징과 칭다오에 각각 200여곳, 상하이에 150여곳, 광저우와 다롄 등지에 20~40여곳의 한국 기업들이 나가 있기도 하다.
중국, 인도, 중앙아시아 국가의 경우 철도의 연결, 유지보수, 화차(객차) 교체에 대한 꾸준한 수요가 있다는 점도 철도산업의 해외진출에 긍정적이다. 일본은 아시아개발은행(ADB)을 통한 다양한 원조로 실익을 챙기고 있으며 부족한 자금은 유상원조기관인 일본국제협력은행(JBIC)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해 철도 사업에 대한 원조와 국내기업의 진출 등을 고려하고 있다.
안 교수는 동북아 국가 간의 자유무역협정에서 화물운송산업이 주요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특히 블록트레인(고속화물열차) 사업의 경우 공영, 민·관, 순수 민간 등 여러 형태의 장단점 비교로 최적의 방안을 끌어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접국가인 중국, 러시아, 일본 등과는 양자간 협약으로, 트라세카(Traceca, 유럽·중앙아시아운송망)나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철도협정을 동반할 경우 국가별 개별협상을 피할 수 있도록 다자간 협상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안 교수는 또 해외사업의 경우 건설 및 운영을 동시에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추세라는 점을 들어 철도공사, 선사, 컨테이너터미널사업자, 화물운송사업자, 내륙물류기지(ICD) 및 복합화물터미널 사업자 등이 국제철도화물운송사업자로 공동참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항만공사와 시도 등 지방자치단체의 투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제물류연구회(회장 이호영), 한국무역협회 국제물류지원단, 함부르크항만청한국대표부가 공동주최한 이번 세미나에선 이밖에 함부르크항운영회사(HHLA) 세바스티안 위르겐 이사와 폴주크인터모덜 발터 쉴츠프라이베르크 사장, HHLA컨테이너터미널 토마스 뤼체 사장 등이 유럽 철도물류망과 함부르크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대해 소개했다. 재능대학 박창호 교수는 유라시안철도망과 한국 항만들의 연결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이경희 기자>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