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8-22 17:10
해양부ㆍ건교부 긴급대응책 마련에 부심
부산항 「컨」물량 30% 감소…포워더 육송에 큰 차질
전국운송하역노동조합 화물연대는 2003년 8월 21일 9시 총파업에 돌입합니다”
운송노조 화물연대가 우려했던 2차 물류총파업에 들어갔다. 화물연대는 지난 21일 오전 9시 서울 영등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6월말과 7월말, 지난 8월 20일 등 세 차례에 걸쳐 파업시한을 유보해 가며 마지막까지 원만한 타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BCT(벌크 시멘트 트레일러) 하주와 운송사측이 ‘화물연대와는 교섭할 수 없다’는 방침을 철회하지 않았다”다면서 “더이상 물러설 곳이 없어 총파업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기자회견문에서 “정부가 운임협상이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한 점에 대해 높게 평가한다”고 말해 정부와의 교섭은 만족할만한 것이었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BCT업체와 컨테이너 운송업체들이 20차례의 교섭을 진행해오면서도 화물연대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다”면서 “‘양회 협회는 화물연대와 운송사간 성실교섭을 지원하고 적정운임이 지급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고 했음에도 2달 가까운 교섭의 결과는 ‘화물연대와의 교섭불가’였다”고 밝혀 이번 파업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집에서 쉬는 파업 하겠다’…불법행동 지양할 터
파업 형태는 지난 5월에 있었던 1차파업처럼 주요 항만이나 도로, 거점 등을 점거하거나 운송방해하는 등의 강성 행동은 하지 않는다고 화물연대는 밝혔다. 전체 조합원 3만명을 참여시키되 화물운송을 중단하는 방법 등의 평화적이고 합법적인 파업을 진행한다는 것.
따라서 ‘집에서 쉬어도 연행’한다는 식의 초법적인 정부측 진압으로 문제를 해결할수 없다며 소유권보장, 수급 조절 등의 화물연대 요구를 합리적으로 수용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한편 화물연대의 2차 총파업에 대한 업계측의 관측은 지난 1차파업과 같은 심각한 물류대란은 오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화물연대가 운송사측이 협상안을 제시하면 협상에 나서겠다는 ‘협상채널 개방’을 밝히고 있고 또 불법행동은 하지 않겠다고 파업방향을 제시해 의외로 단시일내에 끝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파업의 열쇠는 화물연대의 태도가 아니라 운송사나 하주측의 협상태도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화물연대가 이번 파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는 BCT부문의 협상을 컨테이너운송부문과 동시에 일괄타결하려는 집단움직임으로 풀이되고 또 화물연대도 BCT운송사측에 중앙교섭을 통해 BCT부문 운송료 30%인상을 요구해왔다. BCT운송사측은 그러나 개별협상을 계속 고수해왔고, 중앙교섭은 불가능하다는 방침을 표명했다.
화물연대의 파업에 따라 해양부, 건교부를 비롯한 관련부처 및 물류 단ㆍ업체들은 대책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화물연대의 파업이 재개됨에 따라 최낙정(崔洛正) 차관을 본부장으로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해양부는 부산, 인천, 여수, 평택 등 컨테이너 처리 항만에 소재한 각 지방해양수산청을 비롯해 항만하역협회, 대한선주협회, 터미널 운영사 등 관련 단체에 비상연락을 취하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또 부산항의 장기 장치 화물을 양산 내륙컨테이너기지(ICD)와 부두밖 장치장(ODCY)으로 반출하는 한편 대체수송 지원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해양부 관계자는 “피해가 본격화되면 항만 인근 군부대, 공사장, 학교부지 등 임시장치장 확보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건설교통부도 건교부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중심으로 긴급 수송대책에 착수했다.
운송차질 최소화를 위해 비(非) 화물연대 소속 차량들을 최대한 동원하고 자가용 화물차의 유료 운송허가를 통해 추가 수송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해양ㆍ건교부, 비상차량 투입ㆍ연안운송 강화로 파업 대응
비 화물연대 차량은 전체 컨테이너 화물차 2만5천대 가운데 1만8천대,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BCT) 차량의 경우 4천100대 가운데 3천100대인 것으로 건교부는 파악했다.
자가용 화물차는 8t이상 1만5천489대 가운데 동원 가능한 차량을 파악, 연락처를 확보하고 건교부와 각 시·도 관련단체 홈페이지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화물열차를 대거 투입하고 해상운송 능력도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철도의 경우 여객열차 6개 열차를 화물열차로 전환하는 등 23개 열차(508량)를 추가 투입해 화물열차 운행을 기존 102개 열차에서 125개 열차로 확대했다.
이렇게 되면 컨테이너 열차가 50개 열차 1천202량에서 66개 열차 1천570량으로 16.2% 운송이 확대되고 시멘트의 경우 52개열차 1천40량에서 59개열차 1천180량으로 각각 늘어난다.
연안 해상운송 수송력도 200TEU(1TEU는 20피트 길이의 컨테이너 1개)에서 300TEU로 늘릴 예정이다. 건교부는 화물연대가 전면 운송거부시 8~14일, 30% 차량운행시 9~19일까지 항만 터미널별로 컨테이너 장치장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밖에 국방부 등과 협조해 군인력 200명과 관련장비 10대를 동원하고 화물연대의 집단행동 지역에서 운송에 참여하는 차량은 경찰이 호송ㆍ동승하는 등 최대한 보호하도록 했다.
경인ICD 전면 운송중단
업체들의 피해사례도 속출하고 있는데, 경기도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경인ICD) 경우 파업발표가 있은 직후 경인ICD소속 차량도 운행을 전면 중단했다.
화물연대 경인ICD위수탁지회 한창석 지회장은 이날 “화물연대 집행부의 파업결정으로 오늘 오전부터 의왕, 평택, 인천, 조치원 소속 컨테이너 화물트럭 450대의 운행을 전면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부터 경인ICD내 위수탁지회 소속 컨테이너 운전기사 320여명은 운행을 중단하고 모두 귀가, 운송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경인ICD소속 각 운송회사들은 이날 자차와 용차, 화물연대 미가입차량 등 120여대를 동원, 컨테이너 수송에 나서고 있으나 평소의 60%수준에 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앞서 화물연대 위수탁지회 소속 운전자들은 지난 19일 오후 근로기준법 개정을 촉구하는 국회 앞 집회를 위해 이날부터 20일까지 운행을 중단했었다.
부산항 벌써 「컨」 반출입 30%선 감소… ‘외국선사들 이탈 우려’
부산항은 컨테이너 반출입이 줄어드는 등 벌써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이에따라 파업이 며칠간 지속될 경우 수출화물 선적과 환적화물 처리에 차질이 빚어지고 국가경제 활동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것은 물론 외국선사들의 이탈에 따른 부산항이 동북아중심항만 경쟁에서 탈락하는 사태마저 우려되고 있다.
부산해양수산청과 운송사, 부두운영사들에 따르면 현재 화물연대 소속 트레일러들이 운행을 중단함에 따라 운송사 대부분이 장거리 수송을 못하고 있고 부두간 환적화물 수송도 일부 차질을 빚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항 각 부두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평소의 60%선으로 떨어졌다.
신선대부두의 경우 하루 평균 3천960TEU가 반출입되지만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집회참석을 위해 서울로 간 20일에 64%인 2천513TEU로 줄었고 이날 오전에는 반출입량이 훨씬 줄어든 상태다.
하루 3천TEU가 반출입되는 자성대부두도 지난 20일 30%가 줄어든데 이어 이날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감만부두 등 다른 부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부두운영사들은 이날 오후부터는 반출입량이 평소의 절반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부두운영사들은 파업에 대비해 그동안 장기 적체화물을 빼내 부두내 야적율을 50~60%대로 낮춰놓아 화물선적과 하역에 당장 지장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파업이 며칠간 이어질 경우 수출화물이 부두에 도착하지 못해 선적하지 못하는 사태는 불가피하고 부두내 야적장(On Dock CY)도 파업이 일주일가량 지속되면 포화상태를 맞아 부두기능이 마비될 가능성이 있다.
터미널 운영사들은 이날 오전 긴급회의를 갖고 부두간 화물연계 수송을 하기로 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부산해양청과 부산시도 대책반을 가동하고 상황파악에 나서는 한편 사태추이에 따라 단계별 조처를 취하기로 했다.
부산해양청과 부두운영사들은 “수출입물량 차질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외국선사들의 이탈로 벌써부터 많은 외국선사들이 부산항에 기항해도 되는지를 확인하는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며 “또다시 파업으로 부산항 기능이 차질을 빚는다면 지난 5월 파업이후 차이나쉬핑 등이 이탈한 것보다 더욱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선대부두 관계자는 “지난 달 세계 5위로 추락한 부산항이 대만 카오슝이나 일본 항만들에게까지 추월당해 주변항으로 추락할 가능성도 있다”며 “이같은 화물이동현상이 나타나면 부산항이 동북아 중심항이 되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 컨테이너부두공단 광양사업단 관계자는 “하루 평균 3천500여개 정도인 반출입물량이 10분의 1이하로 줄어 사실상 마비상태"라며 “비상 수송대책반을 구성해 수송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복운업체들 ‘LCL화물운송은 가능하다’
지입차량을 이용하는 복운업체들의 경우 지난 20일부터 모든 운송차량이 ‘ALL-STOP’해 업무가 마비된 상황이라고 한 관계자는 밝혔다. 대한통운이나 세방과 같은 대형운송사들은 자가차량 보유율이 높아 어느 정도 운송을 진행할 수 있는 상황이나 중소운송사들의 경우 지입차 의존율이 높아 운송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다.
복운업체중 맥스피드와 동서해운 관계자는 “현재 FCL화물은 운송이 전혀 불가능하며 LCL화물만 운송하고 있다”며 “부산항 CFS까지 LCL로 운송해 FCL작업 후에 비노조 차량들을 비싼 운임으로 긴급수배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고 전했다.
또 모락스 관계자는 “군차량이 투입된다 해도 복운업체들이 수배하기엔 불가능하다”며 “사실상 대형업체들이 아닌 이상 물류파업은 손 쓸 방도가 없다”고 말했다.
해운업체들은 대책마련에 부심하면서 한편으로 파업중에도 내륙운송업체와 화물연대간의 줄다리기는 계속되고 있어 그에 대한 결과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