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견조선사들의 지난해 선박 수주량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컨테이너선 수주 감소와 RG(선수금환급보증) 발급 제한 등이 영향을 미쳤다.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중형조선사들은 전년 대비 1.5% 감소한 86만t(CGT·수정환산톤)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상반기 39만t, 하반기 47만t를 각각 확보했다.
양종서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중형조선산업 2023년도 동향’이라는 보고서에서 “하반기 대선조선의 워크아웃으로 수주가 중단됐지만 대한조선과 케이조선 등 2개사가 수에즈막스급 탱크선과 LR급(7만t) 탱크선들을 대거 수주하며 국내 중형사의 수주활동은 하반기에 오히려 활발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다만 “2023년 수주량은 연간 건조량 대비 약 21% 많은 물량이나 국내 중형사의 주력 선종인 탱크선 수요가 크게 개선된 점을 고려하면 다소 아쉬운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국내 중견조선사들의 가스선은 수주가 급증한 반면, 컨테이너선은 두 자릿수 감소하며 대조를 보였다.
선종별 수주량을 보면, 유조선과 제품운반선 등을 포함한 탱크선은 전년 대비 44.3% 증가한 74만t을 기록, 컨테이너선 감소분을 보완했다. 반면, 컨테이너선은 수요가 급감하면서 1년 전과 비교해 73.2% 줄어든 9만t에 그쳤다.
RG 발급이 원활하지 못했던 점이 조선사들의 수주량을 끌어내렸다. 고물가와 인력난 등으로 조선사들의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양 연구원은 “전년 대비 탱크선시장이 활성화되며 이 시장에 강한 경쟁력을 가진 국내 업계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으나 중형조선사의 RG 발급 한도 문제와 인력 부족에 의한 내부 문제 등으로 수주에 한계를 보였다”고 말했다.
또 “탱크선과 LPG 운반선의 수주가 크게 증가했지만 중형컨테이너선 수주 감소를 메우기에는 부족했다”고 덧붙였다.
건조단가 상승에 수주액은 전년比 12%↑
수주량 감소에도 건조 단가가 상승하면서 조선사들의 수주액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형조선사들의 2023년 수주액은 전년 대비 11.5% 신장한 22억4000만달러(약 2조9000억원)로 추정됐다. 중형사들의 수주액이 국내 신조선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22년 4.4%에서 2023년 7.5%로 확대됐다.
2023년 말 중견조선사들의 수주잔량 역시 총 87척 220만t으로 전년 말 대비 18% 증가했으며 상반기 말에 견줘 9.2% 늘었다.
“인력난 심각한 중견조선 정책적 지원 시급”
중형선박시장에서의 친환경선박 발주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중형조선업계의 기반은 오히려 약화되고 있어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양 연구원에 따르면 벌크선과 탱크선 등 가장 규모가 큰 선종 시장에서 친환경 대체연료 발주율이 아직 낮은 데다 본격적인 규제 대응이 시작되지 않아 많은 잠재적 수요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시장 여건은 개선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중형선박을 건조할 조선사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는 점이다.
양 연구원은 “한진중공업에서 이름을 바꾼 HJ중공업이 최근 뚜렷한 영업과 건조 실적을 보이지 못하고, 대선조선이 워크아웃에 들어감에 따라 사실상 대한조선과 케이조선(옛 STX조선해양) 등 2개사가 산업을 이끄는 체제로 축소됐다”고 말했다.
결국 중견조선사들이 위기를 맞은 주요 원인은 인력 문제이며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조선업계의 인력난은 자체적인 대응 능력이 약한 중형조선업계에는 더욱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조선소 자체 인력 부족 문제뿐 아니라 기자재업계의 인력난까지 겹쳐 블록 제작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대형사보다 심각성이 더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 연구원은 “인력 문제는 업계 자체적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사안으로, 해외인력 도입뿐 아니라 중장기적 숙련도와 경쟁력 개선을 위한 국내 인력 양성 등 다각도의 해법에 대해 정부의 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수의 조선소를 보유한 나라는 위기 발생 시 건조 중인 선박을 징발해 사용하고 선주에게 사후 보상하는 등의 선택지를 가질 수 있다”며 “국가 위기 시 필요 물자의 종류와 하역 항만의 상황에 따라 선종과 선형들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조선소는 대형뿐 아니라 중형, 소형조선소까지 다양하게 보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