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항 2-5단계에 설치될 하역장비 국산화로 생산유발효과가 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됐다. 안벽크레인 9기, 야드크레인 46기의 국내 발주에 따라 생산유발효과가 6417억원, 부가가치 약 2110억원, 일자리 창출이 2386개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부산항만공사(BPA)는 지난 10월 발주한 신항 2-5단계 안벽크레인 및 야드크레인 국내발주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를 해운항만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분석한 결과를 19일 밝혔다.
부산항은 국내 1위, 세계 6위 컨테이너항만으로 우리나라 수출입 무역과 지역경제를 이끌어가는 핵심 역할을 해오고 있으나 기본 인프라인 항만장비는 대부분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다.
BPA의 지난해 12월 자체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신항에 설치돼 있는 69기의 안벽크레인은 모두 중국산 제품이다. 정부에서 발주한 북항은 47기 중 89.4%인 42기가 국산 제품으로 신항과 크게 대조적인 모습이다.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해 파손된 안벽크레인의 국산 대체품 7기를 제외하면 그동안 단 1기의 국산장비도 공급하지 못한 실정이다. 외국 특히 중국기업과의 가격 경쟁력에 밀리기 때문이다.
BPA는 적극적인 국내 장비산업의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규로 건설되는 신항 2-5단계 항만장비의 직접 발주를 결정했다. 또한 이번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추가로 건설되는 2-6단계 등도 직접 발주하여 부품 국산화 및 장비연관산업 육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다할 예정이다.
BPA 남기찬 사장은 “현재 세계 항만장비 시장은 약 7조원으로, 우리 기업의 점유율은 1.7%에 불과하다”며 “국내 발주와 국산화를 통한 성장기반 조성 등 우리 업체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새로이 시장을 확대할 경우 약 1조원의 시장진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