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항로 선사들은 선복조정에 힘쓰며 2011년을 시작했다. AANA그룹(차이나쉬핑·ANL·OOCL)과 NEAX그룹(케이라인·코스코·MOL·NYK)이 3년 연속으로 공동 운항에 나섰고, AAS그룹(현대상선․에버그린․하파그로이드․함부르크수드․APL)과 머스크라인․MSC 역시 선복제휴에 나섰다.
이밖에도 CKA(한진해운․STX팬오션․시노트란스․양밍라인) 역시 일부 선복을 코스코에 매각하며 선복조정을 시행했다. 하지만 호주항로 시황 자체가 비수기였기 때문에 운임 수준이 크게 개선되진 않았다.
별다른 선복 조정 효과를 보지 못하고 3개월이 지난 후 4월에 들어서면서 AANA와 NEAX그룹의 공동운항체제가 종료됐다. 이로 인해 타 선사들은 ‘비수기 운항 프로그램 시즌 2’를 시행하기에 나섰다. 이는 AAS, 머스크라인․MSC, NEAX, AANA가 2주에 중국을 기항하는 서비스 5항차를 대폭 중단하면서 SAS(코스코․PIL)와 CKA가 선복 일부를 중단선사에 임대하는 방식으로 제휴한 것이다.
이처럼 선사들이 선복을 줄이려 고군분투 했지만 수요가 받쳐주지 않아 그 효과는 미미했다.
이후 성수기라고 할 수 없는 3분기가 지나간 후 12월부터 다시 비수기 운항 프로그램이 시행된 상태다. 선사 간 블랭크 세일링을 통해 한 주에 4000TEU 이상씩 선복을 빼는 게 목표다. 이로써 운임 회복 효과가 있을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해운시황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연료유 가격 폭등으로 선사들의 시름은 깊어졌다. 지난해 말부터 TEU 당 유류할증료(BAF)를 기존 450달러에서 475, 500, 525달러까지 점진적으로 인상하다가 3월부터는 575달러까지 인상시켰다.
이후 625달러까지 올랐던 운임이 7월 말께부터 600달러로 인하되더니 갑자기 올해 12월24일, 내년 1월14일부로 연달아 635달러, 650달러까지 BAF가 오른다. 하지만 이렇게 BAF를 올려봤자 호주항로 운임 특성상 실질적인 비용보전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 올해 호주항로에서는 전통적인 성수기라고 할 수 있는 8월부터 10월 사이에도 운임과 물동량 면에서 모두 만족스럽지 못했다. 8월 물동량이 7000TEU를 넘긴 것을 제외하고는 늘 6500TEU를 전후한 수치를 기록했다. 심지어 9월과 10월에 한국은 추석 연휴, 중국은 국경절 연휴가 껴있어 운임을 회복하기는커녕 600~800달러의 기존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AADA 관계자는 “운임이 최소한 1300달러는 돼야 수지타산이 맞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올해 내내 1000달러를 넘기기는커녕 평균 700달러 수준을 겨우 유지하고 있다. 심지어 레진과 종이류 등 운임 자체가 낮은 품목은 ‘말도 안 되는’ 운임으로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AADA 측이 시도하는 운임인상은 보통 수준의 운임과 최저수준의 운임의 균형을 맞추려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내년 1월1일부로 TEU 당 500달러씩 부과하는 운임회복 시행은 현재 운임 수준과 비교했을 때 다소 터무니없는 금액이지만 이와 같은 이유를 고려하면 납득이 된다.
지난 1년을 돌아보면 전체 호주항로 중 한국발 수출 물동량이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16~17%나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자동차반제품(CKD) 수출 증가가 이끌어낸 결과다. 이처럼 올해 우리나라는 물동량이 늘어난 반면 중국, 대만, 일본은 물동량이 저조하다.
반면 운임 면에서는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운임이 가장 낮다. 이와 같은 얼어붙은 운임이 언제쯤 풀릴 지는 미지수다. 또한 내년 물동량 증가세를 가늠해 보면 5%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호주항로 전체 물동량 성장 폭 역시 비슷한 수치로 점쳐져 어려운 해운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그래도 위안이 되는 점은 유럽 재정위기, 미국 경기 침체로 미주․구주항로는 운임에 엄청난 타격이 가해진데 비해 호주항로가 받은 타격은 ‘새 발의 피’ 수준이고, 오히려 선방했다고까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호주의 광산업이 계속 호황을 누려 다른 지역에 비해 흔들리지 않는 경제 성장을 유지하는 게 한 몫 했다.
다만 태국선사 RCL이 10월부터 한국발 호주 항로 서비스를 철수하는 등 여전히 해운불황의 징후가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 김보람 기자 brkim@ksg.co.kr >
많이 본 기사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