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8-20 13:44
적자생존 경쟁시대, 국적선사 M&A 적극 검토돼야
대형화를 통한 생존전략 마련 절실
향후 세계 해상물동량은 몇 년간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세계 컨테이너물동량은 지난 2006년 4억4,189만TEU에서 2011년 6억8,096만TEU로 향후 5년간 2억4천만TEU의 물동량 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극동지역이 2006년 1억5,837만TEU에서 2011년 2억5,933만TEU로 연평균 10%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극동지역의 물동량은 점유율도 2006년 35.8%에서 2011년 38%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동아시아지역 정기항로인 한중항로, 한일항로, 한국/동남아항로의 물동량 추이를 보면 모두 연평균 8%이상의 물동량 증가세를 보였다. 또 2007년이후 이들 3rog아로의 물동량 전망을 보면 지난해 530만TEU에서 2011년 880만TEU로 연평균 9.5% 증가하고 물량기준으로 350만TEU가 신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6년 7월 기준으로 2010년까지 신조선으로 발주될 컨테이너선복량은 431만TEU로 2011년 세계 컨테이너 선복량은 2006년 7월 기준으로 50%정도 증가할 전망이며 이러한 선복량 증가는 8천TEU급 초대형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8천TEU급 초대형선의 선복량은 2006년 68만TEU이나 발주량은 131만TEU로 193%의 폭증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대형선사들은 수송원가의 절감을 위해 초대형선 투입을 경쟁적으로 늘리고 있다. 금년 6월 현재 1만TEU급 제 7세대 선박은 12척이 운항중에 있으며 선박 대형화는 더욱 진전돼 향후 1만2,500TEU급 선박도 취항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선박대형화는 선사들의 기항패턴에 변화를 초래해 세계 정기선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선박대형화에 따라 선사들은 기항지를 초대형 항만으로 정할 것이며 기존 기항지는 더욱 축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분산·피더형 환적이 증가될 전망이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 해운시장에 대한 규제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 인도 등은 정기선사에 대한 운임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EU를 중심으로 미국, 호주, 일본 등은 정기선 해운동맹 폐지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최근 중국은 선사들의 컨테이너처리비(THC) 부과행위, 일중항로의 제로운임, 무허가무선박운송업자(NVOCC)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등 해운시장에 대한 규제의 강도를 높이고 있으며 작년 8월 30일 제정된 독점금지법을 근거로 향후 해운동맹을 인정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EC는 오는 10월부터 유럽을 운항하는 정기선 해운동맹을 폐지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따라 금년 10월부터 유럽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정기선 해운동맹의 공동운임 설정 및 선복량 조절행위가 금지될 예정이다.
한편 미국 의회 소속의 반독점현대화위원회(AMC)도 작년 4월 4일 대통령과 의회에 해운동맹 폐지를 건의하는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미국 의회는 정기선 해운동맹의 폐지방침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지난 2005년 제 13차 한중해운회담에서 2009년 한중 컨테이너 정기선시장을 개방하고 2012년에는 한중 카훼리선시장까지 완전 개방키로 결정했다. 2007년 현재 한중항로의 경우 양국 선사가 민간협의회(황해정기선사협의회, 황해객화선사협의회)의 자율적 합의를 통해 선박 투입을 규제하고 있으나 한중항로 개방으로 양국선사에 적용되는 선박투입의 자율적 제한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
현재 세계 정기선시장은 거대선사들이 주도하고 있다. 세계 5대 선사들이 전세계 선복량의 36.6%를 차지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상위 20위권 선사까지 포함하면 그 비중이 69.4%에 달한다. 반면 선박수에 있어서는 상위 5대 선사가 1,383척으로 전체의 15.3%, 20대선산ㄴ 2,708척으로 전체의 30%를 차지해 거대선사일수록 대형선 위주로 선대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글로벌 해운시장에 대한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선하주 관계에 있어 선사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동시에 선사간에 화물집화 및 운임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세계 각국이 글로벌 해운시장에 대한 규제를 통해 자국이 해운산업을 보호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다. 앞으로 글로벌 해운시장은 강한 선사만이 살아 남는 적자생존의 법칙이 더욱 강하게 적용된 시장으로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적선사들은 경쟁력을 키우는데 노력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최근 원양항로를 중심으로 선박의 대형화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돼 있다. 선박의 대형화는 규모의 경제를 발휘하는 효과가 있으나 공급을 확대해 운임하락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국적선사들도 선박대형화를 위한 적극적인 공급을 확대해 운임하락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또 국적선사간 M&A를 통한 전략적 제휴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전형진 부연구위원은 국적선사간에 M&A나 서비스 혹은 선대의 통합은 선복량 공급을 늘리지 않으면서 운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최근 원양항로를 중심으로 대형선사들의 M&A 열풍은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고 있어 이제 국적선사들도 실질적인 통폐합을 검토해야 할 시점이 됐다고 지적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