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09-10 17:25
[ THIRD PARTY LOGISTICS - KIFT 물류노트 ]
오창열 공영복합화물터미널
물류효율화를 위한 바코드시스템
목차
Ⅰ. 바코드시스템의 개요
Ⅱ. 바코드의 구성
Ⅲ. 바코드의 구분, 용도
Ⅳ. 바코드리더의 종류, 특징
Ⅴ. 바크드데이터간 인터페이스
Ⅵ. 물류를 위한 바코드 도입
Ⅶ. KIFT의 바코드 적용
Ⅰ. 바코드시스템의 개요
1. 바코드시스템의 개념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방법 중 하나로 품목·발주처·코드 등 제품의 데이터
를 심벌로 인쇄, 인쇄된 심벌을 판독기로 해독하여 컴퓨터롤 전송하는 시스
템을 바코드시스템이라 하며 다른 데이터 입력방식과의 비교는 다음과 같다
.
※ 데이터 입력방식의 비교
구분 Key-in OCR OMR 바코드 비고
데이터입력 10초 4초 4초 2~3초 20자 입력
정확도 낮음(1/300자) 중간(1/10.000자) 중간(1/10,000자) 높음(1/15.000자
)
라벨비용 낮음 낮음 중간 낮음
취급용이성 낮음 낮음 높음
장비가격 낮음 중간 중간 낮음
장점 초기투자비용 낮음 작업자에 의한 식별가능 데이터변환 가능 데이터
많은 양 입력 가능 인쇄방법, 판독장치 다양으로 적용범위 제한 없음
단점 많은 작업인원 필요 정확성 낮음 속도 느리고 오차 많음 데이터손실
확률 높음 데이터 육안 확인 불가
2. 바코드시스템의 역사
식료품 판매분야의 계산대의 혼란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1940년 슈퍼의 모든 식료품에 금속Tag를 부착하여 두께별로 상품가격을 산
출하는 방식이 바코드시스템의 시초였으나 금속가격의 고가로 실효성이 없
었다. 1970년 UPC심벌 사용을 추천하였고(POS), 1974년 오하이오주 수퍼에
서 처음 설치하여 1985년 1만2천군데 슈퍼에서 사용하게 되었다. 유럽의 경
우는 1977년 유럽 12개국 연합으로 EAN코드를 제정했다.
도서관 및 기타산업분야에서는 1972년 CODABAR를 개발하여 도서관 및 혈액
관리에 이용하였고 AIM(자동인식산업협회)을 설립하여 표준심벌로 규정했다
. 1974년 CODE 39, 1981년 CODE 128, 1987년 CODE 49를 개발하여 기존의 시
스템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한국의 자동인식기술 및 바코드 도입은, 1988년 EAN에 가입하여 KAN코드를
취득하여 POS, FA 등의 분야에서 사용하게 되었고, AIM KOREA가입으로 국내
자동인식 산업 발전을 도모하였다. 1990년 ISBN에 가입하여 한국은 국가번
호 89를 부여받았다. 1988년~1996년까지 3천9백49개 업체에서 바코드를 도
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1978년 JAN코드를 도입하여 POS에 이용하였고 1982년 세븐일
레븐 전점포에서 POS를 도입하여 바코드 사용이 활성화되었다. 1978년 ~199
6년까지 10만여 이상의 업체에서 EAN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Ⅱ. 바코드의 구성
1. 바코드의 정의 및 바코드 심벌
BAR(검은 막대)와 SPACE(흰 막대)를 조합해서 문자, 숫자, 특수기호를 부호
와 한 것으로 그 아래의 데이터를 빨리 읽도록 고안한 것을 바코드라 한다.
정보를 바코드로 표현하는 방법을 바코드심벌자라 하며 1백50여종이 개발
되어 있다. 많이 쓰이는 심벌로지는 UPC, EAN, Code 39, Codabar 등이 있으
며 같은 데이터라도 특정 심벌로지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바코드
심벌은 심벌로지에 따라 특정 데이터를 바코드로 표신한 객체이며 심벌로지
·데이터·잉크·인쇄용지로 구성되어 있다.
2. 바코드의 동작과 해독원리
Ⅲ. 바코드의 구분, 용도
1. 표준, 비표준 바코등의 구분
구분 표준바코드 비표준바코드
코드체계(자리수) 국제적인 룰에 따라 사용되므로 일정 포맷이 정해져 있음
업체 및 업종에 따라 상이
종류 UPC, EAN-13, EAN-8, ITF-14, EAN-128 CODE 39, CODE 93, CODE 11등
특징 국내의 전업종에서 사용가능 개별업체 및 특정 업종에서만 사용가능
1) 표준바코드
·UPC, EAN
구분 제정국 사용국 용도 자리수 비고
UPC 미국 미국, 캐나다 POS 표준:12 단축: 6 12자리(생산품목 1, 메이커 5,
샹품품목 5, 체크 1)
EAN 유럽 12개국 70여국 POS 표준:13 단축: 8 13자리(국가식별 2, 메이커 5
, 상품품목 5, 체크 1), EAN이 UPC보다 상위레벨임
·ITF, EAN 128
구분 용도 비고
ITF 박스단위로 보관, 수송 구성: 표준형 14자리, 확장형 16자리 14자리 구
성(물류식별 1+EAN13)
EAN 128 파렛트단위 보관, 수송 바코드 1개당 48개까지 데이터 표현 가능(
영문, 숫자, 특수문자 등)
물류관리 업무에서의 사용
구분 소비자 구매단위 물류관리용
사용대상 소비자에서 최종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단품단위 보관, 수송을 목적
으로하는 박수단위, 또는 파렛트 단위 화물
바코드 EAN-13, EAN-8 ITF-14, ITF-16, EAN-128
·ISBN
문헌정보, 서적유통 등에 쓰이며 한국은 국가변호 89번은 부여받았다. 한국
도서번호는 ISBN 10자리에 부가기호 5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2) 비표준바코드
·CODE 39
43개의 문자(0~9, A~Z, 7개의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코드 길이
변경이 가능하고 공업용 및 의료, 사업, 국방 등 일반산업용으로 널리 사용
된다. 또 CODE 93은 작은 심벌로 요구되는 곳에서 CODE 39와 호환가능하다.
·CODE 128
거의 모든 종류의 문자, 숫자, 특수문자 표현이 가능하며(ASCⅡ 128문자도
표현 가능) UPC, EAN 등 데이터의 고밀도 표현을 요하는 여러 분야, 컴퓨터
등에 사용된다.
·기타: 2 of 5, CODABAR, CODE 11, Plessy CODE 등의 사용빈도도 높다.
Ⅳ. 바코드리더의 종류 및 특징
1. 바코드리더
바코드 판독기로 스캐너와 디코더로 구성되어 있다. 스캐너는 빛을 주사하
는 발광부와 빛을 감지하는 광학계로 구성되며 디코더(해독기)는 전기적 신
호를 데이터로 전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2. 바코드스캐너
바코드심벌의 빛의 반사량을 검출, 증폭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로 발광부, 수광부, 증폭기, A/D변환기로 구성된다.
·스캐너의 종류
구분 핸드스캐너 CCD스캐너 레이져스캐너
해독육(개인차) 개인차 있음 없음 없음
비접촉 거리 약 0.5mm 약 0~40mm 0~1m
바코드 해독 자릿수 제한 없음 센서범위에 들어있는 라벨 레이져가 닿는 범
위내의 라벨
스캔횟 수 10~20회/sec 약 40~1,000회/sec
가격 약 15만원 약 20~1백만원 약 1백만원~4천만원
3. 바코드디코더
바와 스페이스의 스캐닝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ASCⅡ
코드로 변환, 해독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디코더의 종류는 On-line형과 Stan
dalone형으로 구분된다.
On-line형은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여 호스트에 전송하며, Standalone형은
자체적으로 데이터 처리기능을 보유하여 컴퓨터를 설치할 수 없는 환경에
서 자체처리 가능하고 HOST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휴대형 판독기의 경우
모뎀이 내장되어 있다.
4. 기타
판독률은 정상, 판독불능, 판독오류로 구분된며 FRR(First Read Rate)은 85
%이상 SRR(Second Read Rate)은 99%이상이어야 정상이다. 양·불량 바코드
식별 기준은 가는 바와 굵은 바의 비율, STOP(Space에 묻은 잉크)과 VOID (
검은 바의 구멍), PCR(빛의 지점과 양을 계산한 수치)이 60~70%면 해독 가
능, 라벨과 리더가 맞는 것 등으로 구분한다.
Ⅴ. 바코드 데이터간의 인터페이스
1. 방법
Point-to- point 방식은 호스트와 여러개의 바코드 디바이스가 독립회선으
로 1:1로 연결되는 방식이며, Multi-point방식은 여러대의 바코드 디바이스
가 하나의 통신회선에 연결된는 방식으로 멀티체인방식, 멀티드롭방식, 멀
티플렉서방식으로 구분된다.
2. 인터페이스를 위한 통신기기
모뎀, 집중화기로 구분된다.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전송하여 디
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장치로 공중전화시스템을 통해 전송된다. 집중화기는
출력회선을 집중화하는 장비로 아래 그림과 같이 구분된다.
Ⅵ. 물류를 위한 바코드 도입
첫째, 라벨은 수분, 먼지, 기름, 마모성, 온도에 방지나 보호되는 재질이어
야 하며 종류는 White pet, ART지, 유포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적당한 라벨
을 구입해야 한다.
둘째, 라벨정보는 제조회사명, 제품정보, 수량, 중량, 출구Gate(보관, 적재
창고 구분 등)등 물류환경에 맞추어 원하는 정보로 구성할 수 있다.
셋째, Printer(바코드)의 인쇄폭은 1백40mm로 한다.
넷째, 물류창고 부문에서 이용되는 바코드 장비로, 프린터는 한글·확대문
자 지원여부를 확인하고, 스캐너는 판독거리·판독시속도·판독방향·Data
표시·Error 표시·Portable인지 고정형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Host(네트워크 포함)통신방식 설정시 유무선 병행 사용인지, Point
-to- point·Multi drop 병행 방식인지 고려해야 한다.
여섯째, 정보관리의 포인트는 제품정보, 거래처 정보, 수량정보, 로케이션
정보(적재위치), 입·출고 날짜정보 작업자 정보, 재고정보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Ⅶ. KIFT(공영복합화물터미널)의 바코드 적용
KIFT는 현재 운영중인 부곡터미널, ’98년 1월 오픈하는 양산터미널, 그리
고 2001년 완공되는 2단계 거점터미널 3곳의 유기적 연계성을 고려한 터미
널을 건립중에 있다.
KIFT는 터미널내 물류관리 효율화 뿐만 아니라, 전국 거점 터미널의 유기적
인 연계성 등 토탈물류관리의 과학화를 지원하기 위한 시설 및 설비를 설치
, 전산 시스템을 개발완료했다. 수직반송기 및 배송센터 운영·관리시스템,
수배송 관리시스템 등 물류업무가 바코드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산화되어 종
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KIFT 물류업무는 바코드시스템을 통해 실
시간으로 전산처리됨으로 수작업에 의한 기존의 물류체계에 혁신적인 변화
를 초래하고 있다. 바코드의 사용으로 물류업무 처리가 신속하고 정확해졌
으며 인력절감이 가능해졌으며, 물류표준화·유니트로드화를 선도하게 되어
밀도높은 물류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
수직반송기 및 기타 운영관리에 상용되는 바코드시스템은 다른 기계화·전
산화 장비와도 연계사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물류환경의 다양성과 물류
환경의 변화가능성을 고려하여 응용사용이 가능한 바코드의 장비 및 시스템
을 갖추었다. CODE 39, IFT, KAN, CODE 128, CODABAR, ID2of5, ITF-B 등 다
양한 바코드 심벌 사용이 가능하고, 판독갯수도 10가지 이상의 다른 코드를
동시판독 가능하게 설계했다. 또한 사용자의 영업비밀이 노출되지 않게 운
행정보와 사용자 정보로 나누어 사용자별로 별도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운행정보로 수직반송기 층별 운행정보를 알 수 있고, 사용자는
각 사용자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물류관리를 할 수 있으며 바코드는 15
자리까지 발행하여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바코드의 판독거리도 바폭 1.0mm
일 때 1천~1천2백mm, 주사속도도 초당 5백scan으로 책정하여 작업의 효율화
를 기했다. 수직반송기 1대당 50PT/H, 배송센터 1동당 2백PT/H의 파렛트화
물을 각층별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5톤 기준 화물엘리베이터보다 2배정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설비했다. 바코드시스템은 또한 터미널 및 설비의
유지보수업무에도 사용된다. 이력정보, 운행정보, 고장정보 등을 전산화시
켜 수작업의 오류를 줄였고 인력절감이 가능해졌다.
정부의 지원으로 설립된 KIFT는 기계화·전산화의 선두주자로서 기존물류업
무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이다.
바코드시스템의 개발 및 사용은 가히 물류의 혁명적인 변화를 초래했다. 수
퍼계산대에서의 혼란을 막고 신속하게 계산을 행하기 위해서 처음으로 고안
된 바코드는 이제 물류·유통업무 뿐만 아니라 의료·금융·사무 등 전산업
계로 확산·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물류·유통의 바코드 사용으로 인력절감 및 신속정확한 작업이 가능하고 불
필요한 재고를 없앨 수 있으며 시장의 재고파악이 실시간으로 가능해져 필
리는 상품과 팔리지 않는 상품을 구별할 수 있어 수요예측이 가능해졌고,
따라서 메이커는 무엇을 얼마만큼 만들어야 하는가까지 예측할 수 있게 되
었다. 바코드의 사용은 제조업자·유통업자·도소매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
여 시장을 보고 과학적으로 물류업무를 수행하여 물류업무의 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수작업에만 의존하는 물류관리의 구습을 벗어나 바코드시스템을 도입
하여 물류관리의 과학화, 효율화로 물류비 절감을 고려해 볼 때이다. 물류
관리의 과하과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시대가 도래
하고 있다.
※ 수정합니다.
지난호에 원고의 제목은 「공영복합화물터미널과 물류정보시스템」으로,
기고자는 「정주일 공영복합화물터미널(주) 시스템 개발실」로 각각 정정합
니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