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4-18 17:29
최근들어 해운업계와 무역업계간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국내 수출입업체들의 물류비 부담이 가중되면서 해운업체들의 해상운임, 부대요율 인상에 무역업계가 그 어느때보다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물류비 부담정도에 따라 경쟁력이 좌우되는 수출입업체들로선 해상운임의 인상은 물론이고 부대적으로 발생하는 요율인상에도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반면 해운업체들은 수년간의 정기선 시황 침체로 말미암아 손익분기점에 크게 못미치는 바닥세의 운임을 끌어 올리기 위해 최근의 물량증가세를 틈타 운임의 안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운선사 입장에선 바닥권의 운임이 이대로 가다간 자칫 도산의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초조함도 운임인상에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기선사의들의 경우 경쟁적으로 대형 컨테이너선을 경쟁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선복이 과잉상태가 됐고 이로 말미암아 선사간 집화경쟁이 과열돼 자연스레 운임은 곤두박질칠 수 밖에 없었다.
공급이 수요를 훨씬 앞지른 상태에다 미국의 9.11테러참사등으로 최악의 정기선시황을 맞았던 해운업계로선 운임인상의 호기를 모색해 왔고 마침 올들어 전반적으로 물량이 증가세를 보이자 해상운임 인상과 함께 일부항로에선 CFS차지와 선적서류발급비를 올리거나 곧 인상할 계획이어서 현재 무역협회를 중심으로 무역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선하주간의 협력체제가 미약한 상태에서 관련기관들의 중재역할도 제대로 멱혀들어가지 못해 선하주간의 마찰이 있을시 양측의 일방적인 견해를 접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러서 답답하기만 하다.
선사와 하주들은 한배를 탄 동료의식이 있어야 하고 운임인상에 있으서도 충분히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해 수긍할 것은 인정하고 반박할 것은 조리있게 증거자료들의 제시해가며 반발해야 하는데 우리의 경우 흑백논리에 치우쳐 상대방의 감정만 상하게 하는 경우가 적지않다. 해상운임이나 부대요율을 인상할 시 해운업체와 수출입업체 관계자들이 미리 만나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이를 활성화시키는 일이 급선무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 선사와 하주간의 협력체제가 매우 잘돼 있어 운임인상등으로 얼굴을 붉히는 사례가 극히 적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해운업체와 무역업체 그리고 관련기관, 관계당국이 정기적으로 회합을 가져 시황을 점검하고 적절한 운임시책이 펼쳐질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