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들어 한중항로 물동량이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1분기까지 6%대의 감소세를 보였던 수출화물이 플러스로 돌아섰다는 건 고무적이다. 운임공표제 도입과 맞물려 운임회복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황해정기선사협의회에 따르면 4~5월 한중항로 컨테이너 물동량은 47만8100TEU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46만1500TEU에 비해 3.6% 늘어났다. 중국 거점항구별로 상하이항 12만3900TEU, 칭다오 7만8000TEU, 톈진신강 6만9900TEU, 다롄 3만5500TEU, 닝보 3만5100TEU였다. 톈진이 4.9% 감소하고 칭다오항이 제자리걸음을 보였으나 상하이 8.8%, 다롄 12.3%, 닝보 7.1% 등 주요 항만에서 괄목할 만한 실적 성장을 일궜다.
한중간 직교역화물(로컬화물)은 44만5800TEU로, 5.5% 증가했다. 이 중 수출화물은 1.9% 늘어난 17만400TEU, 수입화물은 7.8% 늘어난 27만5400TEU였다. 1분기에 -6.7%의 역신장을 보였던 로컬수출화물은 2분기 들어 상승세로 전환하며 실적 개선에 힘을 실었다. 로컬수입화물은 1분기 6.9%에 비해 성장률이 확대됐다.
환적화물(피더화물)은 3만2200TEU를 기록, 1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적수출이 16.3%, 환적수입이 17.6% 감소했다. 환적화물이 준다는 건 기종점인 3국의 시장 환경이 부진하거나 선사들이 직항로를 확대하고 있다는 의미다. 선사 관계자는 “최근 피더화물 감소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 걱정”이라며 “환적화물의 거점이라고 할 수 있는 원양과 일본시장이 부진한 게 원인 같다”고 말했다.
선사들은 아울러 운임공표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제도 도입 이후 마이너스(-) 운임만 시장에서 퇴출되더라도 수익성이 제고될 거란 기대다. 정부는 7월1일부로 마이너스와 제로(0) 운임의 공표를 원천 불허키로 방침을 정한 상태다. 선사들이 운임공표 원칙을 지키지 않을 1000만원 이하의 벌금과 영업정지, 선사면허 취소 등의 제재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에서 비정상적인 운임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만큼 선사들은 이를 무기로 화주들을 적극 설득하고 있다. 이른바 ‘마이너스운임 없애기’다. 특히 수송계약 입찰 시즌에 맞춰 대형화주들과 플러스 운임이 포함되는 새로운 운송계약 체결을 준비 중이다. 취항선사 관계자는 “운임이 오르면서 화주들의 반발이 큰 상황”이라면서도 “정부 정책에 맞춰 선사들이 운임회복을 실시하는 만큼 동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선사 관계자는 “마이너스운임이 플러스로 전환한다고 해도 선사들이 흑자를 보는 수준은 아니다”며 “그동안 기록했던 큰 폭의 적자를 소폭 보전하는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상하이항운거래소에 따르면 6월10일자 기준 상하이발 부산행 컨테이너 운임은 20피트 컨테이너(TEU)당 105달러다.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해 반토막 난 수준이다. 선사들이 우리나라 정부에 신고한 한중간 주요항로 수출운임은 TEU당 50달러 안팎으로 파악된다.
< 이경희 기자 khlee@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