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원양 컨테이너 선복량을 105만TEU, 매출액을 40조원으로 확대해 우리나라 해운업의 위상을 한진해운 파산 이전 수준으로 회복시킬 거란 청사진이 나왔다.
해양수산부는 문재인 정부의 4년간(2017~2020년) 해양수산분야 정책 성과를 점검하고, 2021년 주요 핵심과제를 추진하고자 ‘2021년 해양수산부 업무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HMM 신조선 인도로 해운강국 도약
해수부는 가장 먼저 컨테이너 선복량과 매출액을 한진해운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각오다. 지난해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에 이어, 올해 1만6000TEU급 8척을 원양항로에 투입하는 한편, 신조선을 최대 10만TEU 추가 발주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대표 원양선사인 HMM(옛 현대상선)은 지난해 4월 < HMM알헤시라스 >호를 시작으로 약 5개월 동안 1~2주 간격으로 대우조선해양(7척)과 삼성중공업(5척)에서 2만4000TEU급 12척을 인도받았다. 2만4000TEU급 12척을 선단에 편입시킨 결과, 지난해 1월 40만TEU 수준이던 선복량은 1년 후 70만TEU 이상으로 확대됐다.
HMM은 올해 신조선을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받아 원양항로에 투입할 예정이다. 신조선 인도로 해수부는 올해 원양 선복량을 현재 78만TEU에서 105만TEU까지 확대해 글로벌 해운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선복량 확대와 더불어 올해 해운 매출액도 한진해운 파산 이전 수준인 40조원까지 회복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수출 기업의 물류 애로 해소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국적선사의 서비스 혁신과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역할 강화, 해운 인프라 확충 등을 진행한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해운업에서 약 36조원(잠정치)의 매출을 거뒀다. 중장기적으로는 2025년까지 해운매출액 51조원, 원양컨테이너선복량 120만TEU 달성한다는 목표다.
수출대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의 돕고자 선박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한국형 선주사 육성도 올해 해수부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 포함됐다. 해양진흥공사는 올해부터 매년 최대 10척의 선박을 매입해 국적선사에 제공한다. 2025년까지 총 50척의 선박을 도입, 국적선사들의 고비용 용선 체계를 개선하고 수출 물류 대란 등에 원활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출혈경쟁으로 몸살을 앓았던 아시아역내항로에서는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국적선사들의 협력체인 ‘K-얼라이언스’가 올해 상반기에 출범한다. 해수부는 ‘K-얼라이언스’를 통해 글로벌 생산기지로 떠오르는 아시아역내항로의 경쟁 강도를 낮출 계획이다.
해수부는 선박 확충, 컨테이너박스 리스 등을 지원, 한국발 동남아행 국적선사 선복량을 현재 19만TEU에서 25만TEU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해운 매출액의 65%를 차지하는 중소조선사를 대상으로 한 금융 지원도 확대된다. 해양진흥공사는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위기 상황에 취약한 중소선사들을 대상으로 금융지원을 강화한다. 구체적으로 입찰 및 계약이행보증, 신용보증 등의 신규 사업을 시행하고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선사들에게 6819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한다.
더불어 해수부는 미주 동남아 등 주요 컨테이너항로에 임시선박을 투입해 기업들의 원활한 수출을 돕고, 중소기업엔 선적공간의 50%를 제공해 수출기업의 애로를 해소한다.
미주항로에선 HMM SM상선이 매월 2척 이상을, 동남아에선 고려해운이 매월 1척 이상을, 유럽에선 HMM이 1척 이상의 임시선박을 각각 투입한다는 목표다. 임시선박을 투입하는 선사들에게 항만시설사용료를 최대 15% 감면하고, 기간도 2020년 12월에서 올해 6월로 연장한다.
또한 중소화주를 대상으로 주당 350TEU의 선복을 제공하는 기간도 올해 2월로 늘린다. 아울러 장기운송계약 활성화를 위해 우수 선·화주 선정기준과 인센티브 등 지원요건을 개선하는 한편, 해수부 산업부 중기부 해운협회 무역협회 HMM 등과 합동으로 종합대응센터를 운영해 해운시장 질서를 확립할 예정이다.
이 밖에 해수부는 선·화주 간 부당한 공동행위를 근절하고자 올해 상반기 중으로 ‘해운시장 질서 확립방안’을 마련한다.
부산항·인천항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
우리나라 주요 컨테이너항만의 효율화도 병행한다. 해수부는 부산항·인천항·광양항은 물류 효율화를 위해 부두 증설 등을 가속화하고, 중장기 계획 수립 등을 통해 운영 시스템을 혁신할 계획이다. 부산신항 서컨테이너 피더 1개 선석을 올 상반기, 인천신항 컨테이너 선석과 광양항 석유화학 선석 등을 연내 착공할 예정이다.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스마트 메가포트로 개발 예정인 부산 진해신항은 예타 등 사전절차를 이행해 내년에 기초 조사에 착수한다. 나아가 올 하반기 부산항·인천항 중장기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광양항 2개 부두운영사에 시설 정비 등을 골자로 한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또한 인천항 전자상거래·콜드체인 특화구역 활성화와 부산항·목포항 등의 특화구역 신규 지정 및 주요 항만의 배후단지도 확충한다. 이 밖에 동남아·유럽 주요항만에 해외공동물류센터 확보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면 현지사용료의 50~80%를 지원한다.
항만 재개발도 본격화된다. 부산북항 1단계는 2022년 준공을 위한 철저한 사업관리, 인천 영종도는 종합관광레저단지 조성 및 투자유치를 추진한다. 광양 묘도, 거제 고현항도 신속히 사업을 추진하고, 부산북항 2단계 등 신규 사업은 절차 간소화, 사업자 선정 등의 실행력을 확보한다.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유턴하는 기업에게도 혜택을 부여한다. 해수부는 지난해 12월 개정된 항만법에 따라 유턴기업에 수출입 실적과 관계없이 항만배후단지 입주자격을 부여하거나 우선 입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더불어 선박연료공급업, 선용품공급업, 항만용역업 등의 경쟁력 향상과 항만운영 효율화를 위한 종합발전전략을 올 상반기 마련한다.
글로벌 이슈인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도 마련됐다. 해수부는 선박의 탈탄소화와 해양공간에서의 탄소흡수원 확충 등을 통해 2050년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각오다. 2050년까지 2017년 해운에서 134만t, 어업에서 277만t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줄인다.
해운에서는 올해 31척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관공선 388척, 민간선박 140척 등 총 528척을 LNG 하이브리드 등 저탄소 선박으로 전환한다. 2050년에는 수소 암모니아 등 무탄소선박을 완전 상용화해 배출량의 75% 이상을 감축한다. 어업은 배출량의 37.5% 이상 감축을 목표로 친환경 어선 개발 전환 등 구체적인 방안을 올해 하반기 마련한다.
HMM 영업익 21분기만에 흑자전환
지난 4년 동안 한국해운 재건을 위해 추진한 성과도 이날 발표됐다. 해수부는 한진해운 파산으로 추락한 해운 재건을 위한 5개년 계획 수립과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선복량 확충, 선사·항만 경쟁력 강화 등이 주요 성과 중 하나로 꼽혔다.
특히 HMM은 3대 해운동맹 중 하나인 디얼라이언스에 가입하고,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을 유럽에 조기 투입, 24항차 연속 만선 출항하는 성과를 일궜다. 그 결과 HMM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21분기 만에 흑자 전환했다.
항만에서는 부산항은 세계 2위 환적항만으로, 광양항은 세계 11위 종합물류항만으로 성장했다. 특히 광양항은 전 세계에서 11번째로 연간 항만 물동량이 3억t을 돌파하는 성과를 일궜다.
또한 해수부는 우수 선·화주 인증제 등 선사의 안정적 화물확보를 지원하고, 부산항 광양항 등 거점항만의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는 중장기 발전전략을 마련한 것도 성과로 들었다.
더불어 승선진단검사, 외국인선원 임시생활시설 등 항만 방역을 중점 추진하고, 해수욕장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방역관리를 실시, 코로나19에 적극 대응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