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항로 물동량이 성장세를 이어갔다.
미국 민간 통계서비스업체인 데카르트데이터마인에 따르면 11월 아시아 10개국발 미국행(수출항로) 컨테이너 물동량은 4% 증가한 142만TEU를 기록했다.
발동은 연기되었지만, 미국은 2000억 달러분의 중국 제품에 대한 제재 관세 세율을 2019년 1월에 10%에서 25%로 끌어올릴 방침을 나타내면서, 대상이 되는 가구류 등에서 막바지 수송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미국발 아시아 대상 10월은 6.7% 감소한 50만TEU였다.
선적지별로 보면 1위 중국이 4% 증가한 87만8232TEU로, 61.7%의 점유율을 차지였다. 2위 한국이 8.8% 증가한 15만682TEU, 3위 대만이 12.9% 증가한 8만3730TEU, 4위 베트남이 0.6% 감소한 6만7500TEU, 5위 홍콩이 9.4% 감소한 5만9223TEU였다.
6위 싱가포르는 6.5% 증가한 5만4851TEU, 7위 일본은 3.9% 증가한 4만8336TEU, 8위 인도는 17% 증가한 3만6795TEU, 9위 태국은 1.7% 감소한 3만672TEU, 10위 말레이시아는 21.1% 감소한 1만3255TEU로 집계됐다.
가장 많이 수송된 품목은 가구류로 9.9% 증가한 17만9034TEU를 기록했다. 2위 전자제품은 4.9% 감소한 7만8823TEU, 3위 기계류는 9.3% 증가한 6만5340TEU였다.
반면 10월 미국발 아시아 10개국행(수입항로) 물동량은 6.7% 감소한 50만TEU에 머물렀다. 중국의 폐지 목재 플라스틱 수요 부진이 실적 감소로 이어졌다.
1위 중국은 28.2% 감소한 15만9858TEU로 점유율 32%를 기록했다. 2위 일본은 9.4% 증가한 6만986TEU, 3위 한국은 1.7% 감소한 6만662TEU, 4위 대만은 23.7% 증가한 4만7030TEU, 5위 인도는 5.7% 증가한 4만1335TEU였다.
6위 인도네시아는 29.7% 증가한 3만7582TEU, 7위 베트남 9.9% 증가한 3만7246TEU, 8위 말레이시아는 28.9% 증가한 1만9443TEU, 9위 홍콩은 14% 감소한 1만9335TEU, 10위 태국은 8.7% 감소한 1만6851TEU였다.
북미 수입항로 1위 품목은 폐지로, 6.9% 감소한 9만6669TEU로 집계됐다. 2위 사료용식물은 18.1% 감소한 3만9603TEU에 머물렀다. 3위 플라스틱은 3.8% 증가한 3만6156TEU였다.
< 외신팀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