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항로 컨테이너 운임은 선복 증가에 따른 하락압력이 강해 2016년 전반 동안 침체가 계속됐다.
영국 컨테이너트레이드스타터스틱스(CTS)에 따르면 전 세계 평균 운임 지수는 1월부터 하락세를 보였다. 화물량은 전년 수준을 웃돌았으나, 지난해 이후 신조선 러시와 전배에 따른 공급확대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다만 정기선사들은 모두 실적이 악화되고 있어 연 후반의 운임 개선을 위해 각 선사들의 진정성이 요구되는 국면에 있다.
CTS에 따르면 6월 운임지수(2008년 12월=100)는 63이었다. 지난달보다 1p 하락했다. 1월 시점의 지수는 71로, 올 들어 한 번도 상승하지 않으면서 2015년부터 하락세에 제동이 걸리지 않는 상황이다.
한편 물동량 자체는 플러스 성장을 보였다.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은 1~6월 누계가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7633만4000TEU에 달했다. 3월 이후, 4개월 연속으로 전년 실적을 웃돌았다.
상승세를 보인 물동량임에도 불구하고, 시황이 침체된 전형적인 예가 아시아-북미항로의 수출 항로다. 일본해사센터의 정리에서는 아시아발 미국의 1~6월 화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742만9000TEU였다. 이 항로는 2년 연속 최고 기록을 갱신했다.
순조로운 수요가 계속되는 한편, 봄 이후의 상하이발 스폿운임은 미국 서안 양하에서 40피트 컨테이너(FEU)당 700달러대에 돌입하면서, 과거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시황이 기록적으로 급등한 전년 동기와는 정반대의 운임 상황을 나타냈다.
아시아발 유럽 수출항로는 최저치 수준을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는 ‘ULCS’라고 불리는 1만TEU급 이상의 대형선이 준공 피크를 맞이한 가운데, 물동량이 마이너스 성장하면서 수급 격차가 확대됐다. 그 결과 시황은 아시아 역내 항로 수준의 낮은 운임을 기록했다.
유럽 시황은 변동이 심해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이지만, 올해 전반 수준을 끌어올리는 기조를 유지한 채 마쳤다. 각 선사가 매월 실시하고 있는 운임인상은 효과가 단기간이지만, 실효성을 유지하고 있다.
전배의 영향으로 오랫동안 침체가 계속된 남북항로도 선사 측의 루프 삭감 등이 성공하면서 현재 시황은 향상되고 있다. 북미항로도 7월에 스폿 운임이 상승했으며, 유럽도 다시 하락하는 것은 피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 외신팀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