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각국이 제조업 육성 정책을 앞 다투어 추진하면서, 제조업 혁신이 우리 경제에는 위협이자 기회라는 분석이 나왔다.
세계 주요국들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여러 차례의 위기를 겪으면서 안정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민했다. 미국을 필두로 독일 등 선진국은 2011년부터 그 해답을 제조업 육성에서 찾았다. 지난해부터 제조업육성정책이 인도와 러시아, 중동·중남미 각국으로 확산되면서 제조업의 르네상스시대가 열리고 있다.
주요국의 제조업 육성정책은 자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가 목적이지만 나라마다 각기 다른 전략을 취하고 있다. 선진국은 첨단 분야 주도권 확보를, 개도국은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하다.
미국은 제조업 육성의 선봉에 섰다. 2011년부터 ‘첨단제조파트너십’이라는 제조업 육성정책을 가동하고, 2016년 한 해 6억800만달러(한화 약 7085억원)의 예산을 쏟아 부었다. 이 정책은 첨단 제조업 육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독일도 2012년부터 ‘산업 4.0’ 프로그램에 시동을 걸었다. 전통 제조업과 IT를 접목시켜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인데, 프로그램이 현실화될 경우 연간 100억유로(약 13조원) 상당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해부터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수립해 제조업 혁신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에 나서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들의 제조업 주도권 확보 싸움은 치열하다. 육성 분야는 3D 프린팅, 디지털제조기술, 스마트 센서, 사물인터넷 등과 같은 첨단 분야에 모여있다. 세계 제조업의 선도국가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첨단 제조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부터 제조업 육성 정책에 뛰어든 중국은 ‘제조업 대국’에서 ‘제조업 강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나섰다. 중국 정부는 현재 중국 제조업을 大而不强(대이불강, 크지만 강하지 않음)에 비유하며, 제조업에 대한 높은 대외의존도와 공업 혁신능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제조업 혁신에 발 벗고 나서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대비가 필요하다. 과거 중국은 저렴한 비용을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삼았으나, 향후 10~20년간 중국 정부의 정책지원을 통해 주요 분야에서 핵심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우리 정부도 경합 분야에서 비교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코트라는 세계 각국의 제조업 육성 붐은 우리에게 위협이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독일 등 선진국과는 핵심 제조 분야에서 주도권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것이 불가피하다. 중국의 추격을 뿌리치는 것도 우리 제조업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특히, ICT(정보통신기술) 등 강점 분야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이 절실하다. 코트라는 대비책으로 ▲산·학·연 협력 ▲민·관 연구소 간 공동 R&D ▲대·중소기업 간 협업 ▲선진국 연구소 및 기업들과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 대내외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러시아, 인도 등 제조업 개도국을 대상으로는 우리가 보유한 각종 기술 및 장비를 활용해 제조업 발전에 동참함으로써 시장을 확보하는 전략 구사가 필요하다. 자유무역협정을 활용해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역에 우리 공장을 건설하는 등 현지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전략 또한 요구된다.
코트라 김재홍 사장은 “각국의 제조업 혁신은 제조업 강국인 우리에겐 위협이자 기회”라며, “선진국과는 ‘혁신 경쟁 전략’으로, 개도국과는 ‘시장 확대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박채윤 기자 cypark@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