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환경 해양플랜트 기술개발에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양플랜트 산업특성상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고 기술개발의 리스크가 높아 민간주도의 개발이 어려워 국가지원의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것.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IET) 이공훈 PD는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는 남·북극과학기지, 극지용 쇄빙선 개발 등 극지 관련 연구는 일부 진행돼 왔으나 극한환경 해양플랜트분 분야의 기술개발 실적은 전무한 실정”이라며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극한환경에서 설계·운영 기술의 확보는 해양플랜트 기술력 상승과 핵심기자재의 국산화 기반을 확립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극한환경 해양플랜트는 장기적으로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며 친환경적으로 자원을 채굴·처리할 수 있는 해양플랜트를 의미한다. 영하 40~55도의 혹한과 빙편 충돌 등 일반 해양플랜트보다 플랜트 및 기자재 기술에서 신뢰성 및 안정성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 기술이다.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덴마크 등 북극해 연안 5개국은 북극자원 개발을 선점하고자 국가차원의 개발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에 부응해, 쉘, 엑슨모빌, 스탯오일, 가즈프롬 등 글로벌 기업들도 극지개발을 위한 각축전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해양플랜트의 상세설계 및 건조기술에서 세계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설계 및 기자재 기술분야는 아직 해외 선진기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이 PD는 “더 늦기 전에 새롭게 대두되는 극한환경 해양플랜트 시장진출을 위해서라도 우리나라의 기술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극한환경 해양플랜트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사업도 향후 활발히 진행돼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국내의 기술개발은 극지항로 운항과 관련된 조선분야에서 일부 진행돼 왔다.
또 빙해수조와 소형콜드룸과 같은 인프라도 일부 구축됐으나 극한환경 해양플랜트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은 거의 진행된 적이 없다. 이 PD는 “극지 연안국들의 국가차원 개발과 글로벌 기업들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어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조선 및 플랜트 분야의 강점을 활용하면 선진국과 충분히 경쟁할 수 있고, 시장 선점 또한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창조경제 산업엔진 프로젝트로 극한환경 해양플랜트 기술,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미래성장동력으로 심해저 해양플랜트 기술에 개발의지를 천명하는 등 해양플랜트 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정부에서 인식하고 있다. 앞서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 ‘극지정책 선진화 방안’, 2013년 ‘북극 종합정책 추진계획’ 등을 발표해 범부처 공동으로 극지자원을 개발했다.
또 극지 자원용 해양플랜트 기술개발(R&D) 추진의지를 천명해 극한환경 해양플랜트 기술개발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 PD는 “극한환경 해양플랜트를 위한 설계, 기자재, 소재, 운영기술을 조기에 확보한다면 해양플랜트 분야의 기술력을 높이고, 대·중·소 동반성장 및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