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이성우 국제물류실장 |
해양수산부가 5년 만에 부활했다. 해운물류산업의 주무부처로 재등장한 해양수산부가 어떤 행보를 보일지 업계에서 거는 기대도 크다.
본지는 국내유일의 해양수산분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연구원들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국내해운물류산업의 방향성을 점검한다.
KMI의 해운, 항만, 국제물류, 해사정책 부문의 연구원을 소개하고 각 분야의 정책방향에 대해 들어본다. 네 번째 인터뷰의 주인공은 이성우 국제물류연구실장이다.
이성우 국제물류연구실장은 1997년에 KMI에 입사해 올해로 16년째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처음에는 워터프론트 개발 연구를 맡으며 연구원 생활을 시작했지만 항만배후단지가 개발되면서 1998년부터 항만배후단지 연구를 맡았다.
이 실장은 부산항 신항 배후물류단지 기업유치를 위해 수천 곳의 회사를 찾아다니며 기업을 유치한 이력을 갖고 있다. 연구만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기업들을 만나면서 연구와 실무를 병행하며 배후물류단지에 애착을 갖고 있다.
물류기업을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국제물류로 연구 분야를 넓혀 현재는 국제물류연구실장으로 물류기업 해외진출과 항만배후단지 기업유치에 참여하고 있다.
Q. 해양수산부 부활로 물류 기능이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로 이원화됐는데...
A. 국제물류는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 양쪽으로 나뉘어져서 공통으로 수행하게 된다. 물류가 이원화된다고 해서 이전보다 문제가 커질 것 같지는 않다.
물류가 일원화 돼있던 국토해양부 때는 물류정책과가 물류를 통합할 수 없는 구조였다.
부처 안에서의 교류를 위해서는 한곳에 있어야하지만 물류정책과의 힘도 없고 예산도 적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제 이원화가 되면서 실리를 위한 정책보다 부처 간의 경쟁으로 정책을 펴지 않을까 하는 우려 섞인 시선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나눠진 물류를 묶을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 물류창구를 할 수 있는 전담기구나 위원회를 만들어 범정부차원에서 물류를 관할해야 한다.
한편, 해수부에서는 해운물류기업이 생존하는 방법을 해운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글로벌화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대응해야한다.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기본계획이나 단기별 성장에 대한 방향과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법을 재정해야한다.
모든 산업은 여러 법안을 만들어놓고 지원하고 있지만 물류는 물류기본계획법만 있을 뿐이다. 물류를 하나의 산업으로 인정하고 국제물류활성화 발전법을 만들고 그 틀 안에서 해외진출 계획, 무역항 기본계획 등을 만들어 물류를 이끌어야한다.
국토교통부에서는 물류에 대한 인식 바로잡기에 힘써야한다. 국민들과 일반 기업들조차 물류에 대한 인식이 낮다. 국제물류주선업체가 상당히 중요한 핵심 분야라고 얘기하지만 이를 주관하는 부처조차 물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뾰족한 방법이 없다.
무엇보다 물류주선업 등록은 각 시·도에 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실수다. 지자체에서는 물류에 대한 정의도 못하는 수준이다. 국토교통부쪽에서 물류에 대한 정립을 하고 물류산업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Q. 현재 국내 항만의 배후물류단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A. 현재 우리나라 항만배후단지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보다 운영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부산항 배후물류단지에는 이미 많은 기업들이 입주해있다.
이제는 외국기업 유치에 더욱 포커스를 맞추고 입주기업들이 수익을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
모든 기업을 유치하는 것보다 테마를 갖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전략적으로 기업들을 모집해야한다. 즉 배후단지도 다양한 콘셉트로 클러스터를 만들어야한다.
예를 들어 푸드면 푸드기업, 커피면 커피기업 등이 모일 수 있도록 등 특성화 시켜 입주기업들이 입주한 이후에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기업들이 배후단지 안에서 운영을 잘 할 수 있도록 항만운영배후단지 활성화법도 제정해 기업들은 다양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해줘야한다. 좋은 기업이 배후물류단지에 자리를 잡고 그 기업들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Q. 화주와 물류기업의 동반성장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지원책이 있다면?
A. 동남아와 중남미 지역에 동반성장 진출은 늘고 있다. 동남아 지역은 이미 세계 여러 나라의 물류기업들이 진출해 있다. 7, 8년 전부터 동남아 지역에 관심 있는 업체들은 많았지만 선뜻 진출하지 못했다. 현재 한발 늦게 국내기업들이 진출 하려고 하니 이미 동남아 물류시장 경쟁은 치열해졌다.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했다면 시장을 선점할 수 있었을 텐데 지금은 치열한 경쟁을 통해서라도 동남아시장에 진출해야하니 힘들 수밖에 없다. 중남미에는 이미 국내 기업 몇 곳이 진출해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해외 화주들을 끌어 올 수 있는 힘은 없다.
화주와 물류기업이 동반성장해 해외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물류전문인력을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국내 물류기업은 특성상 순간순간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임기응변에 뛰어나지만 언어실력과 시장을 보는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
대학에서는 교수가 실무전문가가 아니다보니 전문 인력 양성에 한계가 있다. 물류인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역아카데미처럼 전문기관에서 해양 아카데미 등을 교육코스로 정규화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Q. 국내 물류기업이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을 펴야하나?
A. 우리나라 물류기업의 해외 진출 상황은 중간이하 정도다. 정부의 국제물류 지원책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그나마 해외에 진출 할 수 있었던 것은 2자물류기업들이었다. 물류측면에서 화주와 같이 해외에 진출해 네트워크를 만든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본다.
그동안 해운기업들이 시장을 리드해나갔지만 포트 투 포트 서비스에서만 머물고 그 단계 이상을 못 넘어서고 있다. 우리나라 해운기업들의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금융공사를 만든다고 하는데 문제 있으면 정부가 선박을 사주고 다시 해결되면 돌려주고 하는 등의 해운분야에서만 해결책을 찾는 것은 구시대적인 발상이다. 해운의 문제를 해운에서만 찾으려고 하면 안 된다.
반대로 2자물류기업들은 그나마 진전을 보이고 있다. 물류기업들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늘리고 있고, 사업영역을 넓히려고 시도하고 있다. 물류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종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류기업이 해운업에 뛰어들고 항만터미널운영사로도 참여해 사업을 확대하면서 종합물류기업으로 성장해야한다. 물류는 해운 항만 등을 따로 떼어놓고 볼 수 없다. 물류기업은 통합 형태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범위의 경제, 밀도의 경제를 통해 사업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Q. 국내 2자물류기업들과 중소물류기업간의 양극화를 줄일 방안이 있다면?
A. 살릴 수 있는 기업은 살리고 작은 기업은 협동조합이나 공동브랜드 등을 만들어서 살릴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한다. 유럽의 경우 컨설팅기업이나 물류기업들은 하나의 브랜드로 활약하고 있다. 국내물류기업들도 공통되는 부분은 브랜드화해서 기업들이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정부에서 중소물류기업을 지원하는 방법은 방향을 제시하지 않고 얼마간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수준이다. 이보다는 공동브랜드를 만들어서 양극화를 줄여나가야 한다.
Q. 국내물류기업의 동북아 대륙지역의 물류시장 진출 진행상황은?
A. 현재 동북3성에서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동북3성은 중국 러시아 일본이 발 빠르게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곳이다. 우리나라 물류기업들도 아직 미미한 상황이지만 동북 3성의 일부지역에 진출하고 있다.
시장을 관망하다 이미 그 지역에 물류인프라가 구축이 되고나서 참여하면 늦는다. 자원이 곧 물류라는 마인드로 북방물류에 진출해야 될 시점이다. 중국이 러시아 북극해로 가는 관심을 갖고 있고 우리나라 물류기업도 뒤쳐지지 않기 위해 뛰어들고 있다.
한편 국내 물류기업은 중국의 내수물류시장 진출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자물류기업은 견제를 받고 중소물류기업은 역량이 부족해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화된 전문기업을 설립하거나 중국기업과 전략적인 제휴를 통해 중국내수시장에 진출해야한다.
중국에서 국내 기업들이 성공하지 못하는 것은 가격경쟁에서 밀리기 때문인데, 규모가 커지면 극복할 수 있다. 제일 좋은 방법은 기업들이 합병을 통해 회사 규모를 키우는 것이지만 어려운 일이다.
이럴 때 정부가 기업들의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각각 전문분야를 갖고 있는 기업들을 하나로 묶어 한 개의 기업으로 만드는 역할을 정부에서 하고 지원해야한다. < 정지혜 기자 jhjung@ksg.co.kr >
많이 본 기사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