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진출 후 국내항만과 네트워크 구축…동북아 물류허브 기반확립
김성진 해양부장관,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 육성방안’ 발표에 주목
우리나라에도 홍콩의 허치슨(HPH), 싱가포르의 피 에스 에이(PSA), 아랍의 디 피 더블유(DPW)와 같은 대형 컨테이너 항만(터미널) 운영사가 조만간 출현할 전망이다.
김성진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오전 취임 후 첫 정례브리핑에서 “물류기업의 해외 진출을 통해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를 육성하고 우리항만을 중심으로 하는 항만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 육성방안’을 마련해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세계 5위의 부산항과 세계 8위의 해운항만산업, 한진·현대 등 세계 10위 내외의 글로벌 선사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국내 물류업계의 해외 글로벌 항만네트워크 구축은 사실상(선사 자가터미널을 제외하고는) 전무하다”며 “장관으로서 취임 후 주요 역점사업의 하나로 세계적인 터미널 운영사를 육성하고, 우리 항만 중심의 항만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동북아 물류허브를 앞당기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터미널 기업의 육성과 해외진출 방안으로 김장관은 “해외항만은 시장여건의 변화가 불확실해 국내 항만보다 리스크가 큰 사업이므로 리스크 분산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항만공사, 하역사, 선사, 건설사 등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항만운영(개발)회사’를 설립해 운영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장관은 터미널 운영사 설립을 위해 “항만공사는 사업추진을 위한 공신력과 자본 등을 지원하고, 하역사는 터미널 운영 노하우를, 선사와 화주는 안정적인 물량확보를, 건설사는 국내항만 건설 및 해외개발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기업 요건에 대해 김장관은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경험이 있는 일정규모 이상의 하역사, 글로벌 선사, 투자대상국에 진출해 있는 화주, 국내 항만건설 경험이 있는 일정규모 이상의 건설사를 우선 진출 대상으로 하고 점차 참여기업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출대상 국가와 항만에 대해 김장관은 “경제성장률과 물동량 증가율이 높고, 주간선항로이거나 급성장항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항만개발계획이 수립돼 있거나 항만개발이 활발한 국가를 우선 선정하고 어느 정도 노하우가 축적되면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중국, 중동, 인도, 말레이시아·베트남 등 동남아, 러시아 등이 해당되지만 구체적인 국가와 항만은 현장 실사 등을 통해 확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자금확보 방안으로 김장관은 “가칭 ‘해외(항만)투자펀드’를 조성해 일부를 조달하고 부족분에 대해서는 국내 또는 현지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할 계획”이라며 “펀드는 항만공사자금과 민간자금, 기타 공공자금으로 조성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해양부는 조만간 자산운영에 관한 기준을 마련하고, 투자에 따른 금융, 세제상의 지원 등을 위한 법령 제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해양부는 이날 발표한 방안을 바탕으로 관련업계, 펀드전문가 등으로 공동 작업반을 구성해 5월 중에 1차적으로 베트남 방문을 통해 투자 가능성 분석과 함께 해외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에 대한 매뉴얼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올 하반기부터는 현지 조사를 통해 진출가능 국가와 항만을 선별해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해외에 진출 할 계획이다.
해양부는 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해외투자 지원을 위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한국개발연구원(KDI),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및 펀드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해외(항만)투자지원센터’를 설치해 전세계 항만을 대상으로 사업 발굴, 계약, 투자, 관리 및 운영 등에 대한 지원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해양부는 이같은 해외항만 거점 확보를 통해 우리기업의 안정적인 해외진출을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국부창출의 원동력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항만공사는 공공서비스 기능 강화와 함께 사업 다변화로 항만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고, 하역사는 글로벌 터미널운영사로 성장하고 장기적으로는 국제적인 초물류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선사와 화주는 안정적인 터미널 확보를 통해 정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저렴한 항만서비스 이용을 통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창훈 기자>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