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3-02 15:25
남부권 물류중심공항 건설 추진
해양수산부 주도로 한·중·일 물류장관회의를 정례화하고 러시아·아세안(ASEAN)등 동아시아 물류공동체 형성하는 등 고부가가치 물류허브전략이 추진된다.
해양부 오거돈 장관은 2일 오전 출입기자와 정례브리핑을 갖고 지난달 24일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보고된 ‘막힘없는 국제물류네트워크 형성주도를 통한 고부가가치 물류 허브화 전략’을 소개하고 재경부·산자부·건교부등 관계부처 회의를 통해 해양부가 이 전략을 주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오 장관은 “동북아 물동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물동량은 2003년 11%, 2004년 10.3%, 작년 4.3% 증가등 해마다 정체상태에 빠지고 있으며 이런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동북아 물류허브화를 위해 외국화물을 유치하고 우리기업의 적극적인 외국진출로 우리가 주도하는 국제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해 고부가가치 물동량을 창출해야 할 것”이라고 고부가가치 물류허브전략 추진배경을 말했다.
◆범정부적 물류협력= 해양부는 이 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물류협력에 관한 사항을 통합관리하는 가칭 ‘국제물류협력추진위원회’를 올 상반기에 설치할 계획이다. 이 조직은 장관급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국장급으로 구성된다.
제도적 근거로서 ‘국제물류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하고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및 우리기업이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전담기관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IT기술을 접목한 유비쿼터스자동화항만(U포트)을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말까지 제조 및 물류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범용 물류정보공동시스템 구축하고, 2008년까지 게이트 자동화등을 완료한다는 구상이다. 내년까지는 인텔 인사이드처럼 항만의 안전도등 서비스 품질을 보증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항만브랜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동북아물류레짐 구축= 오 장관은 국제물류협력 시스템을 체계화하고 개방형 동북아물류레짐(regime)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작년에 합의된 3국 물류장관회의를 올 9월 서울에서 개최하고 이를 매년 정례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를 통해 2009년 발효를 목표로 동북아시아의 통합물류시장 형성 및 이행에 관한 ‘동북아물류협약’ 체결을 추진할 계획.
오 장관은 물류네트워크 구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한·중·일 3국의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연구를 실시하고, 물류네트워크 구축을 주제로 하는 3국 국제물류포럼을 오는 5월중에 우리나라에서 개최하겠다고 했다.
오 장관은 동북아물류협력을 토대로 이를 다른 나라와 단계적으로 넓혀 나가겠다고 했다. 내년 미국, 2008년 러시아, 2009년 캐나다 및 아세안등과 물류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2011년 이후엔 인도·브라질 및 기타국가들과 물류협력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오는 11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3차 UN ESCAP(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 인프라 장관회의 때 해당 국가들과 장관급 회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오 장관은 국제물류협력의 지원을 위해 2011년 국제물류협력기금 형태의 국제적인 재원을 확보해 공동연구 지원뿐 아니라 실제 물류협력사업에 활용하겠다고 했다.
◆물류인프라 정비로 글로벌기업 유치= 오 장관은 글로벌 물류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항만 배후단지에 물류인프라를 구축하고 중·일 기업과 우리 기업을 연결시켜주는 타겟 마케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 장관은 홍콩이나, 싱가포르, 로테르담등 세계적인 물류도시들은 공·항만 연계를 통한 씨앤에어(Sea&Air) 물류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하고 우리나라도 부산항과 광양항등 항만과 인접한 지역에 물류중심의 남부권 공항 건설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 장관은 현재 이같은 구상을 건교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또 항만 배후부지에 공동물류센터를 건립할 계획으로, 부산신항은 국내물류기업 전용 물류센터를 오는 11월까지 건립하고 광양항 공동물류센터를 내년 3월까지 건립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한 해외항만 투자등 금융과 해운·항만산업을 연계한 해외물류거점 확보방안을 올 6월까지 수립하고 장기적으로는 페덱스나 DHL등 해외물류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글로벌 물류기업이 동북아권에서 탄생할 수 있도록 3국이 공동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경희 기자>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