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6-08 17:10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 아시아나항공 노조와 대한항공 조종사노조가 7일과 8일 잇따라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를 발표하면서 오는 12일 민주노총 연대파업에 동참하기로 결의, `항공대란'의 먹구름이 점차 짙어지고 있다.
국내 2개 항공사가 함께 파업에 참여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아 각 항공사는 비상 운항대책 마련에 골몰해 있다.
두 항공사 노사 모두 일단 파업 예정일인 12일 새벽까지 항공기가 멈춰서는 파국만은 면하기 위해 성실한 교섭에 응하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두 회사 모두 노사간 입장차가 워낙 커 막판 타결 가능성을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아시아나항공은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에 대비, 전체 객실 승무원 1천700여명중 비노조원 500여명을 중심으로 근무 스케줄을 새로 짜고 있다.
다행히 조종사들이 이번 파업에 참여하지 않을 예정이기 때문에 국제선 만큼은 정상적으로 운항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선의 경우 대체 교통수단이 없는 제주와 승객이 많은 부산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에 대해서는 불가피하게 운항을 포기한다는 방침이다.
아시아나항공은 또 노조의 파업 예고기간에 직원들의 휴가나 출장을 피하고, 비상근무체제에 돌입,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하지만 항공기 기종에 따라 반드시 탑승해야 할 필수 승무원 수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이행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국제선에 주로 운항되는 대형기인 B747 기종에는 승무원 17명이 탑승해야 하며, 소형기인 B737기종에도 국내선의 경우 4명이, 국제선에는 6명이 투입되어야 한다.
조종사노조가 파업을 결의한 대한항공의 상황은 아시아나항공에 비해 더욱 심각하다.
대한항공은 조종사노조에 가입한 조합원 1천400여명을 제외할 경우 외국인 조종사 250여명을 포함, 모두 300여명의 조종사로 항공기를 운항해야 한다.
때문에 조종사노조가 파업에 들아갈 경우 국내선 운항을 모두 포기하고, 국제선 중 도쿄, LA, 뉴욕, 파리, 홍콩 등을 잇는 간선 노선만은 어떻게든 운항을 하겠다는 비상대책을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이 계획조차 제대로 이행될 지 현재로서는 장담하기 어렵다. 운항 규정에는 외국인 조종사가 기장을 맡게 되면 반드시 한국인 부기장이 동승토록 돼있을 뿐만 아니라 기종에 따라 해당 조종사가 다르기 때문에 간선 노선의 정상 운항도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파업만은 막기 위해 노조측과 최대한 협상을 해나가겠다"며 "하지만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비노조원과 외국인 기장들로 새 조종사 운항조를 구성, 중요 노선만큼은 정상 운항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