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40년까지 30조원을 투입해 부산 인천 울산 울산 광양 등 14곳에 수소항만을 구축한다. 수소항만 조성을 통해 매년 1300만t 규모의 수소를 해운물류업계에 공급한다는 목표다.
해양수산부는 26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4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항만 조성방안’을 보고하며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항만은 앞으로 선박과 화물차 등 수소를 활용한 운송수단이 확대되는 등 수소경제가 활성화된다면 수소의 주 소비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소경제 시대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항만의 역할을 검토하고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그동안 제기되고 있었다.
해수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친환경, 수소항만 생태계 조성’이라는 비전 아래, 2040년까지 총 14개소의 수소항만을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8년 연간 27만t에 그치는 항만 수소 물동량을 2040년 연 1300만t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우선 ‘수소항만 조성방안’을 추진해 매년 1300만t의 수소를 울산(2곳), 광양(2곳), 평택‧당진(2곳), 인천(2곳), 새만금(2곳), 부산, 군산, 삼척, 제주 등의 항만에서 공급한다. 수소를 통한 모빌리티 소비량도 2028년 연간 2만t에서 2040년 50만t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또 해수부는 국내 기업의 참여의향이 높은 울산항 광양항 부산항 평택‧당진항 군산항 등 5개 항만에서는 수소항만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동북아 에너지 허브인 울산항은 블루수소를 생산하거나 해외 그린수소를 수입한 후 내륙으로 공급하는 수소 허브항만으로 육성한다. 2030년까지 기존 LNG터미널을 활용해 블루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시설뿐만 아니라, 그린 수소를 수입할 수 있는 수소터미널과 대규모 수소저장시설, 배관망 등도 구축한다.
광양항에는 수소트럭 휴게소, 충전소, 발전시설 등을 모은 수소복합 스테이션을 2023년까지 구축하고, 2040년까지 인근 석유화학단지(여수산단), 광양제철소 등과 연계해 수소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거점으로 조성한다.
글로벌 컨테이너 허브인 부산항에는 수소추진선박과 화물차를 위한 수소연료 생산과 공급체계를 구축한다. LNG벙커링 터미널 개발과 연계하여 수소 생산 시설을 구축하며, 선박, 화물차를 위한 수소 연료 생산 및 공급체계를 2030년까지 마련한다.
이 밖에 평택‧당진항에는 2025년부터 수소 모빌리티 실증단지를 조성하고, 2040년까지 항만 하역장비 전반을 수소기반으로 전환해 나갈 예정이다. 군산항에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저장하는 기술을 활용해 블루수소를 생산하는 전용 터미널을 2028년까지 시범적으로 구축하게 된다.
해수부는 5개 선도사업 외에도 전국 무역항의 수소항만 조성가능성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입지와 인프라 개발계획 등을 담은 ‘수소항만 기본계획’을 내년부터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수소항만 특별구역 지정, 인센티브 지원 등 우리기업이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법과 지원제도를 2023년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수소경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항만은 꼭 필요한 기반시설”이라며, “수소항만의 성공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