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항만 분야 이슈로 선박 대형화에 따른 부두 확대, 항만 자동화 시대 방안, 해외 항만 진출 등이 제시됐다. KMI 김근섭 항만정책연구실장은 지난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8 해양수산 전망대회’에서 항만 산업의 흐름을 정리하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김 실장은 최대 2만5000TEU급 선형까지 고려한 항만설계 기준을 마련해 안정적으로 터미널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올해는 1만8000TEU급 선박 31척이 인도되는 등 극초대형선 투하가 봇물을 이룰 전망이다. 선복 증가량은 57만TEU에 이를 전망이다. 그는 이에 대응해 운영사 통합 확대와 터미널 얼라이언스를 통해 터미널 길이를 연장하는 한편 예선과 줄잡이 등 관련 서비스 산업의 대형화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항만 자동화 시대를 맞아 대응책 마련도 긴요하다. 지난 2011년에서 2015년 항만산업의 영업비용 증가율은 20.9%였다. 매출액 11.4%와 부가가치 6.1%에 비해 높은 수치다.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인건비 증가도 문제다. 주요 산업별 인건비 비중을 보면 운수업 20.4%, 건설업 15.9%인데 반해 항만산업은 64.1%에 달한다.
김 실장은 기존 부두의 자동화 도입을 적극 추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항만 자동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기업 육성에도 힘을 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항만공사와 정부에서 핵심 기술을 가진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기업도 자체 노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사업을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또 스마트화에 따른 신산업 발굴과 육성, 중장기적 시장 확보와 일자리 창출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완전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개발로 생산성이 급증하고 있다. 항만 분야 자동화 도입 2년만에 하역생산성이 약 1.5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유럽에서 선도했던 항만 자동화는 최근 중국 양산항을 비롯해 향후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등 전 세계로 확산될 전망이다.
신남방정책과 연계한 아시아 신흥국 해외 항만 투자에도 힘을 실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근 10년간 싱가포르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등 신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지역과 인도와의 교역액이 연평균 5.6% 증가했다. 국내 총 교역액 증가율인 2.4%보다 약 2배가량 높은 수치다. 정부는 지난 2016년 신아세안 교역 목표액을 1300억 달러에서 오는 2020년 기준 2000억달러로 증가시키며 교역량 굳히기에 나서고 있다.
물동량은 둔화가 예상된다. 지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은 경제성장률 대비 2배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했으나, 최근 경제성장률과 유사한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KMI는 지난해 세계적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이 급증했으나 올해부터는 저성장세로 돌아갈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산업 여건을 고려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작은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강화, 국내 항만 서비스 수준에 대한 인식 제고, 중장기적인 항만 비용 증가의 대응 방안 수립 등도 해결해야할 과제로 꼽혔다.
< 이시은 기자 selee@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