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과 드론을 이용한 무인 배송 서비스가 3년 후 조기 상용화된다. 정부가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등 적극적인 투자를 감행해 차세대 물류 서비스 조기 구현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했다. 국토부는 2026년까지 로봇 배송, 2027년 드론 배송 상용화를 목표로 내걸었다. 국민 체감도가 높은 무인 배송을 조기에 상용화하기 위해 민간의 기술개발과 실증을 지원하고 물류 전용 테스트베드 조성에도 추진한다.
또한 무인배송 법제화와 안전기준 마련 등 신기술의 제도적 기반을 단계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물류, 플랫폼, 정보통신(IT) 등 여러 분야의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를 올해 6월까지 구성하고, 사업화 모델 발굴 등 민간 주도 혁신을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당장 올해부턴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전국 당일배송 체계를 구축한다. 정부는 30분·1시간 등 전국 초단시간 배송 구현을 위해 도심 내 주문배송시설(MFC)의 입지를 허용한다. 민간의 낙후된 물류창고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민간의 첨단물류기술 연구·개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화물차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도 적극 지원한다. 올해까지 자율주행 화물차가 주행 가능한 시범 운행 지구를 지정하고, 내년까지 자율주행 화물차 안전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2027년까지 기존의 도시철도를 활용한 지하 물류운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물류 전용 지하터널에 대한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이 밖에 콜드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온·습도 등 운송 환경에 민감한 화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민간 기술 개발에 대한 세제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스마트물류 플랫폼 제도 도입 등 물류 네트워크 강화
규제 혁신과 물류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으로 더욱 탄탄한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정부는 도심 내 물류 용지 부족에 따른 물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심 지역에도 도심첨단물류단지 등 물류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신도시를 개발하는 경우, 개발사업자가 사전에 생활물류시설 용지를 확보하도록 조치한다. 도심 인근 지역엔 고속도로, 철도부지 등 유휴부지를 적극 활용해 부족한 물류 인프라를 확충할 예정이다.
인천공항과 신공항에 첨단 물류 인프라를 조성하고 스마트 항공 화물조업체계를 도입해 글로벌 항공 물류허브 구축에도 박차를 가한다. 비수도권 국가 물류단지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입지규제도 완화하고, 국제 물류거점 조성을 위한 국가 ‘스마트 물류 플랫폼 제도’도 도입한다. 정부는 이 플랫폼 제도를 통해 (가칭)물류진흥특구를 구축하고, 물류와 관련된 각종 규제 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여러 곳에 산재된 물류정보를 통합한 통합 플랫폼 구축을 구상하고 있다. 국내·외 물동량, 창고, 수출입 등 물류정보를 한 데 모은 플랫폼을 만들고, 이를 민간에 개방해 기업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홍광의 기자 kehong@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