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라오스 정부가 교통 및 물류분야 전략 개발 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자국을 국제 무역 및 지역 간 거점 역할을 수행할 물류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외신 및 물류기술연구센터에 따르면 라오스는 인접국 접안 지점까지의 장거리 수송 교통수단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탓에 인접 국가로부터 교통수단을 임대해 활용해왔다. 이로 인해 인접국가의 대형 물류사업자들이 라오스 물류수익의 상당수를 차지했고, 결국 교통 인프라 유지를 위해 상당한 국가 예산을 지출하는 반면 수익은 매우 제한적인 구조였다.
라오스 교통부 비엥사바스 시판돈(Viensavath Siphandone) 장관은 “물류환경 개선은 정부의 전략적 발전 계획의 일환으로 이를 통해 라오스를 내륙 국가의 폐쇄성을 극복한 교통 허브로 도약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라오스 정부는 인접 국가들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 개발 및 개선을 위해 별도의 대규모 예산을 책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른 전략으로 라오스는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등 주변국들과 양자 계약을 체결했으며, 미얀마와 협상을 남겨두고 있다. 이밖에도 라오스-베트남-태국, 라오스-베트남-캄보디아, 메콩강 일대 국경 교통협정과 아세안 프레임워크 협정 등의 다자간 협약도 함께 체결했다.
한편 라오스는 현재 아태지역 UN 경제사회이사회 내륙국 회원으로, 자국내 9개 지역이 국제 물류파크로 지정된 상태다. 물류 개선 작업은 이들 9개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타날라엥(Thanalaeng)은 민간 협력 파트너십(PPP)의 일환으로 일본과 투자 협력을 진행 중이며 사바나켓(Savanakhet)은 최근 물류 서비스를 개시했다.
일련의 작업을 통해 라오스 정부는 자국의 수출입 화물 수송을 통합함으로써 물류비용 절감과 함께 컨테이너 트럭의 불법 주차, 도로 파손 및 안전 등의 문제도 함께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국경 간 교통 및 물류서비스를 통해 실제적인 수익 창출도 가능할 전망이다. 여기에 기업들은 저렴한 물류비용으로 다양한 목적지까지 정시에 수화물을 배송하는 이점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민간 투자와 생산이 더욱 촉진되는 산업의 선순환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 김동민 기자 dmkim@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