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무역이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박수리시장의 성장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한국무역 포트폴리오 다양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무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산업의 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는 선박수리 부문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선박수리업이 그동안 조선 산업의 한 부문으로 인식돼 왔지만 생산유발과 고용효과가 크고 IT산업, 관광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경제적 확장력을 갖춘 큰 고부가가치 부문이라고 밝혔다.
세계 선박수리 시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2008년까지 해운경기 호황과 신조선 발주 증가로 수요가 급증했으며, 금융위기 이후에도 선사들의 선박수명 연장방침에 따라 지속적인 수요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또한 선박공급 과잉으로 인한 선복량의 해상 물동량 초과로 선주들이 신규 발주보다 수리에 눈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 이 밖에도 선박의 의무적인 정기검사와 환경규제 강화 등의 여러 조치들도 선박수리 수요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러한 세계 선박수리 수요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 한국의 선박수리 부문은 소규모 영세기업들에 의해 운영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기업들이 선박수리 부문의 수익성 저하를 이유로 신조선 부문으로 대거 전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보고서는 선박수리 부문의 산업화를 위해 소규모 업체별로 차별화된 선박수리 기술을 통합하여 활용하고 마케팅 할 수 있는 선박수리 전문단지 조성이 필요하며, 선진화된 수리기술과 납기준수, 신뢰성 등을 경쟁력으로 내세워 세계 선박수리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선박수리 부문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영세 수리업체들에 대한 다양한 세제혜택과 선박금융 지원 등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조상현 연구위원은 “세계 1위의 신조선 산업과 세계 5위 컨테이너항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선박수리 부문의 산업화 조선업의 경쟁력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운영 중인 전세계 수리조선소는 약 224개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지역이 114개(50.3%)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47개(21%), 미주 21개(9.4%) 등을 보유 중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44개(19.6%)로 가장 많은 수리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일본이 23개(10.3%)를 보유하고 있어 동북아 국가들의 수리조선소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운영 중인 조선소는 총 53개소이며, 이 중 중대형 조선소는 9개소다. 대부분이 선박건조 위주이며, 선박수리 위주로 운영되는 조선소는 오리엔트조선, 대불조선, 여수해양조선 등에 불과하다. 과거 현대미포조선소 등이 대형선박 수리를 담당했으나 모두 신조선 사업으로 전환했다.
2002년 세계 최우수 수리조선소로 선정된 현대미포조선소는 1990년부터 신조선 시장에 진출, 2005년 완전히 전환했다. 베트남에 수리목적으로 조성·운영 중인 현대비나신조선소도 2011년 신조선업으로 전환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