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보자로 최종 확정되며 세계 1·2위를 합친 메가 조선사 탄생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양사의 합병이 성사되면 세계 조선시장 점유율 20%를 뛰어넘는 데다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LNG선의 가격 경쟁력 제고가 가능해져 통합조선사의 한 단계 더 높은 도약이 기대된다.
다만 매머드 조선사가 출범하게 되는 과정은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 경쟁국의 기업결합 승인과 현대중공업·대우조선 노조의 강도 높은 반발이 ‘합병 드라이브’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생존권을 우려하고 있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양사 노조가 파업을 강행하면서 통합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최종 합병까지 진통이 따를 것이라는 게 조선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현대·대우 통합으로 LNG선 수주잔량금액 2배↑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달 31일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 인수 관련 기본합의를 체결했다. 합의서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을 조선합작법인(중간지주, 존속)과 현대중공업(사업법인)으로 물적분할하고, 산은은 대우조선 주식을 조선합작법인에 현물출자해 조선합작법인의 신주를 취득할 계획이다.
이후 조선합작법인은 1조2500억원 상당의 유상증자 후 대우조선에 1조5000억원 규모의 증자를 추진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현대중공업은 기존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과 더불어, 대우조선해양을 보유한 중간지주회사(조선합작법인) 체제로 개편된다.
당초 산은은 현대중공업과 더불어 삼성중공업에 대우조선 인수 의사를 타진하면서 2파전 양상이 예상됐다. 삼성중공업은 경영진 회의를 개최하는 등 본격적인 검토 작업에 들어갔지만 지난 11일 산은에 참여 의사가 없음을 공식 통보하면서 현대중공업이 인수 후보자로 최종 확정됐다. 삼성중공업이 인수 명단에서 제외되면서 현대중공업은 합의사항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다음달 8일 대우조선과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세계 1·2위 조선사가 합쳐지면 수주전에서 경쟁력 우위를 확고히 다질 수 있다. 규모의 경제 실현은 물론 구매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조선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치열한 수주 경쟁이 사라지면서 정상적인 선가 확보를 통한 수익 개선이 가능해진다.
영국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양사의 수주잔량 척수는 LNG(액화천연가스)선 및 해양사업을 중심으로 총 180척으로 집계됐다. 현대중공업그룹이 1114만5000CGT(수정환산톤수), 대우조선해양이 584만4000CGT로 세계 1~2위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양사가 통합하면 3위 이마바리조선이 보유한 525만3000CGT와 비교해 3배 이상 많은 수주잔량을 확보하게 된다. 특히 LNG선은 양사가 합칠 경우 점유율이 60%에 달하게 된다.
영국 선가조사기관인 베셀즈밸류 역시 양사의 합병을 통해 LNG선 수주잔량금액이 60억달러에서 120억달러로 두 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전체 수주잔량금액은 삼성중공업과 비교해 3배 이상인 350억60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매체는 “고부가가치 선박을 수주하기 위한 기업 간 경쟁이 줄어들며 가격 협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대중공업그룹은 대우조선 인수를 통해 선박 수주 부문에서 세계 최고 리딩 조선사의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10년째 이어져 온 국내조선 빅3 체제가 빅2로 재편된다는 소식에 전 세계 조선업계의 이목은 우리나라로 쏠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 세계 선박 건조시장에서 20%의 점유율을 넘어서는 매머드급 조선사의 탄생을 예고했다. 특히 LNG선 건조 분야에서는 경쟁국인 중국 일본을 압도하는 과반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우리나라 대형조선사들의 일감가뭄 해소에 크게 기여한 선종은 LNG선이었다. 조선 빅3는 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LNG선을 싹쓸이했다. 전 세계에서 발주된 63척 중 현대중공업그룹이 24척을,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각각 17척을 쓸어 담았다. 현대중공업그룹 대우조선해양이 수주한 LNG선만 40척을 웃돈다.
WSJ는 향후 LNG선 수요 증가와 노후선 대체 등으로 양사의 합병을 통해 새롭게 탄생할 조선사는 큰 이익을 얻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해사신문은 한국조선의 1강 체제는 향후 전 세계 조선시장의 판도를 바꿔놓는 한편,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구조조정을 촉진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신 “노조 협상과 경쟁국 승인이 관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두 조선사의 합병이 일본 중국 등 경쟁조선사들에겐 결코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우리나라는 이번 인수를 놓고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회원 국가로부터 기업결합 심사 승인을 받아야 한다. 향후 3~6개월 동안 걸리는 외국 경쟁국의 승인을 얻어야 걸림돌이 사라지게 된다.
EU는 2000년대 초 우리나라 정부가 조선사들에게 불법 지원을 했다며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한 바 있다. EU는 국내 조선업계가 정부의 보조금을 등에 업고 불공정 경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여러 차례 조사를 진행했지만 결국 한국이 승소하며 사태는 일단락됐다.
일본 역시 WTO에 제소 절차를 단행한 바 있다. 2015년 10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약 4조2000억원의 금융지원, 2017년 3월 두 은행이 대우조선에 약 2조9000억원의 추가지원을 실시한 부분을 근거로 지난해 11월 WTO에 따른 분쟁 해결 절차 개시를 발표했다. 이 밖에 가격 경쟁력과 정부 지원 등으로 무장하며 세계 1위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중국의 승인 여부도 따져봐야 한다.
로이즈리스트는 “한국의 금융기관은 대우조선이나 현대중공업에 재정 지원을 중단하지 않고 있다”며 “해외 경쟁 조선사를 물리치기 위해 자국조선소를 지원하는 더 큰 기업으로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해사신문 역시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합병에 전 세계 경쟁국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 이 매체는 두 회사의 합병에 양사의 노조가 반대 목소리를 분명히 낼 것이라는 점과 경쟁국들이 독과점을 이유로 반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했다.
업계에서 지목하고 있는 양사의 노조 문제는 조선사들이 풀어야 할 최대현안 중 하나다. 양사 노조는 인수합병에 따른 생존권을 우려하며 반대의견을 분명히 하고 있다. 상경 집회를 이어가던 대우조선 노조는 인수에 반대하는 파업을 결정했다. 최근 조합원 5242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4831명(92.2%)이 쟁의행위에 찬성했다.
노조는 “조선업이 바닥을 치고 반등하기까지 뼈를 깎는 고통과 인내의 시간을 버텨왔다”며 “이제야 대우조선 전체 야드에서 활력을 되찾아가는 상황에 느닷없이 고용불안이라는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며 파업에 돌입했다.
현대중공업 노조 역시 양사의 합병이 결국 국내조선 기반을 허물게 될 것이라며 일방통행식 대우조선 인수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상선과 해양플랜트, 특수선 등 건조 선종이 겹치며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점과, 대우조선의 높은 부채비율이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우조선해양의 부채비율은 여전히 높은 편이며, 영구채는 2조3000억원에 달한다.
노조는 “2021년 말까지 대우조선에 자금이 부족하게 되면 현대중공업이 1조원 가량의 지원 의무를 부담해야 한다는 내용까지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며 “동반부실의 어려움에 빠지게 될 경우 구조조정은 가속화될 것이고 이로 인한 노사 갈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담화문을 통해 노동조합을 포함한 내부 구성원은 물론 협력업체들과 충분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담화문은 “이번 대우조선 인수는 당장의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이뤄진 선택”이라며 “산업 경쟁력 제고를 통해 고용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이번 대우조선 인수 목적은 우리나라 조선업을 살리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어느 한 쪽을 희생시키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