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안을 운항하는 선박들의 항적이 사라지는 현상이 일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난 <세월>호 참사 직전 약 30초 동안 항적 기록이 사라져 큰 논란이 된바 있다.
2일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이 해양수산부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7개월 동안 제주 노선 등 서해와 남해를 오가는 여객선 항적을 뽑아 AIS(선박자동식별장치) 신호 두절 등으로 항적도에서 항적이 사라진 사례가 20척의 여객선에서 무려 3만8451번이나 발생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세월>호와 같은 등급의 여객선들을 대상으로 30초 이상 항적이 사라진 경우만 집계한 수치다.
이중 <세월>호는 사고가 난 4월16일까지 1월에는 459차례, 2월 209차례, 3월 328차례, 4월 271차례 등 총 1267차례나 항적도상에서 사라졌던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많이 항적이 끊긴 여객선은 <세월>호의 쌍둥이 여객선인 <오하마나>호로 1월부터 운항이 중지된 4월까지 총 4777차례나 항적도에서 사라졌다. 특히 2월에만 2541차례나 끊겨 하루 평균 90차례나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상에서 항적이 실종되기도 했다.
가장 길게 항적이 사라진 여객선은 7시간47분31초, 3시간37분15초, 50분44초 순으로 항적이 끊겼다.
사실상 국내 연안을 운항하는 모든 여객선이 수시로 항적이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해상안전관리에 큰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항적이 끊겨 항적도에서 배가 사라진 사이 사고가 나면 배의 정확한 위치와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자칫 대형 재난을 부를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다.
조원진 의원은 “정부가 선박자동식별장치 등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며 투입한 예산만 260억원에 달하지만 이런 사실이 밝혀진 상황에서 또 다른 <세월>호 같은 사고가 났을 때 안전에 구멍이 생길 것은 뻔한 상황”이라며 “시스템 구축과 유지관리 등 정부시스템 전반에 대해 총체적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이경희 기자 khlee@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