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항만 10곳 중 4곳가량은 지진이 나면 큰 피해를 입는 것으로 평가됐다. 항만시설의 내진율이 다른 공공시설에 비해 현저히 낮은 까닭이다.
새누리당 이운룡 국회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항만시설 내진성능평가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666개 항만시설 중 내진성능 확보 비율은 59.6%로 총 269개 항만시설(40.4%)이 지진피해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에서 지진 관측을 시작한(1978년) 이래로 2012년까지, 한반도지역에서 1,026건(연평균 29건)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몸으로 느껴지는 지진도 238건(연평균 7건), 규모 5 이상의 지진도 5회나 관측됐다.
우리나라에서 대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항만시설을 포함한 국가 기간시설의 취약한 내진성능은 큰 문제로 지적된다.
현황 자료에 따르면 화물을 선적하는 부두와 배가 정박할 수 있는 계류시설의 내진성능 확보율(이하 내진율)은 67.5%, 여객선 터미널과 같은 건축물의 내진율은 70.2%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하지만 방파제와 호안 등 부두와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한 외곽시설의 내진율은 32.5%에 불과해 지진 피해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수출입 물동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항만시설이 국가 주요 교통·물류시설과 비교해 지진 피해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지진방재 주무부처인 소방방재청의 주요 공공시설물 내진실태 현황 자료에 따르면(2012년 기준) 항만시설의 내진율(35.3%)은 전체 공공시설 평균(38.4%)보다 낮았다. 특히 국가 주요 교통·물류시설 중 공항시설(92.4%), 도시철도(79.5%), 도로시설물(63.4%), 철도시설(48.3%)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청별로 살펴보면 부산항만공사와 목포항의 내진율이 100%였으며, 여수광양항만공사(91.1%), 대산청(87.%), 평택청(85.7%)이 상위 5위권에 들었다.
화물 처리량이 많은 지역별 항만공사 중 인천항만공사(75.0%)는 중상위권이었으나 울산항만공사(50%)는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울산항만공사의 경우, 원유·석유·가스·화학물질 등 액체 위험화물 취급비율이 전국 처리량의 35%에 달하고 있어 내진성능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운룡 의원은 “세계 5위 항만이었던 일본 고베항이 1995년 고베 대지진 이후 항만경쟁력이 급격히 하락(2012년 기준 세계 52위)한 것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며,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시설의 보강공사와 평가 미실시 시설에 대한 성능평가를 조속히 마무리 지어 예측 불가능한 자연재해에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 이경희 기자 khlee@ksg.co.kr >
많이 본 기사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