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2-13 18:05
북·중무역 심화가 향후 북한의 대중국 경제의존율을 높일 공산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응해 북한과의 경제협력 혹은 남-북-중국의 다자간 경제협력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북·중무역은 2000~2004년 중 매년 약 30%에 달할 정도로 급증했으며, 이러한 북·중무역의 증가는 이 기간동안 북한의 경제성장률을 매년 약 3.5%p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중무역이 증가하지 않았다면 북한이 부(負)의 성장을 계속하였을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북·중무역은 중국산 물품들이 북한 시장거래의 약 80%를 점할 정도로 시장경제 확산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가재정의 고갈로 인해 과거에는 무역에 종사하지 않던 기업과 기관들마저 중국과의 무역을 통해 운영자금을 확보했고, 국가상점망의 와해로 이들을 통해 수입되는 물품들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기 때문.
북·중무역은 북한의 중국(특히 동북3성)에 대한 의존도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는 북한의 취약한 생산과 함께, 중국 상품의 저렴한 가격, 지리적 인접성, 관세감면 혜택 등의 이점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중국의 대북무역 및 투자 확대는 중국의 의도적인 정책의 결과라기보다 이러한 이점들을 배경으로 한 중국 경제성장의 자연스런 결과로 보여진다. 앞으로 중국의 고성장은 무역과 투자를 통해 북한의 경제회복과 시장화를 촉진하고 대중국 의존도를 심화시킬 전망이 크다.
따라서 북·중무역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대북 경제봉쇄와 같은 대북 억압정책은 중국이 동참하지 않는 한 실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오히려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더욱 높이는 결과를 낳게 될 공산이 크다.
한국은행은 이같은 근거를 토대로 중국의 북한경제에 대한 영향력 확대에 대응해 우리 정부는 남북경협의 방향과 실천방안을 새롭게 마련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한국과 중국간의 높은 상호 경제의존도를 활용해 남-북-중국 3자간 경협방식을 통해 상호이익 증대를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희 기자>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