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14 17:58
부산항과 광양항을 연계하는 진정한 의미의 '투포트(Two-Port)' 체계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전남 광양항 활용 전략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해양수산부는 주요 항만 물동량 재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2020년 광양항의 총 물동량이 부산항 수준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변함없이 투포트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이런 입장을 밝힘에 따라 광양항 물동량 예측이 과장됐고 부산항에 역량을 집중해야한다는 '투포트 무용론' 주장은 일단 수면 이하로 잠복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2008년까지 광양항에 7선석(船席;배가 접안하는 자리)이 추가돼 연간 처리능력이 668만TEU까지 늘어나면 외견상 투포트 시스템 구축에는 문제가 없다는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광양항의 물동량은 확충된 처리 능력에 크게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이번 조사 결과를 간과해선 안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광양항의 컨터이너 물동량은 고작 135만TEU에 불과해 현재 300만TEU(12선석)인 처리 능력의 절반도 채 활용하지 못했다.
더욱이 2008년까지의 처리능력은 668만TEU까지 늘어나지만 3년 뒤인 2011년의 물동량마저도 524만TEU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올초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발표한 2011년 광양항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치인 691만TEU에 비해서도 167만TEU나 줄어든 것이다.
이에 따라 해양부에서조차 광양항의 물동량을 늘리기 위한 총체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해양부는 우선 광양항의 물동량이 일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 배후부지를 조기에 개발, 대형 물류 창고를 확충하고 대형 부품공장 등을 유치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중국과 일본 등 인접국과의 협의를 통해 동아시아 해운시장을 적절히 분점하는 '물류외교'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상하이 양산항(洋山港) 개장 등으로 위협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물동량 규모를 외교력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해양부는 효율성 제고를 위해 향후 광양항과 부산 신항 개발시 무조건 부두를 완성하지 않고 일단 하부 기반시설을 먼저 완성한 뒤 물동량 동향에 따라 부대시설 공사를 마무리짓는 '트리거룰(Trigger Rule)'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연합)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