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4-26 18:20
亞 주요 섬유수출국, 수입쿼터 폐지에 대응책 마련 부심
중국 독주 예상 속 타 수출국들 경쟁력 강화에 총력
그 동안 미국, EU 등 일부 국가가 운영해 오던 섬유수입쿼터가 내년부터 전면 폐지됨에 따라 중국, 인도 등 아시아 섬유 수출국들이 시장사수를 위한 총력전을 펼 전망이다.
코트라가 해외 무역관을 통해 중국, 인도, 태국, 홍콩, 터키, 베트남, 필리핀 등 아시아 주요 섬유수출국의 섬유수입쿼터 폐지 대응동향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재 세계 섬유 교역의 약 40%를 차지하는 이들 국가는 정부는 물론 각 기업 차원에서 기술 및 디자인 개발로 제품의 차별화, 경쟁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대책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WTO 섬유협정에 따르면 각국은 자국 섬유산업 보호를 위해 적용하던 섬유 수입품에 대한 국별 쿼터를 올해 말까지 모두 폐지해야 한다.
이 조치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이는 중국은 쿼터 폐지 후 세계 섬유제품시장 점유율이 현재의 15%에서 최대 50%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 섬유산업 구조조정의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만이나 홍콩의 섬유 생산시설의 중국 내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인도 등 경쟁국에 비해 유리한 입지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는 견해도 지배적이다.
중국 섬유업계는 선진국 대비 최대 약점이 낮은 기술수준이라고 진단, R&D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기술개발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는 자체 평가를 내려놓은 상태다. 이에 첨단기술과 선진 관리기법 도입에도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만 내년 섬유수입쿼터 폐지로 중국산 제품의 급격한 시장잠식을 우려, WTO 회원국들이 오는 2008년까지 중국 섬유제품에 대해 특별 세이프가드를 실시하게 되어 있어 그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태다.
인도는 향후 섬유수입쿼터 폐지 후 중국을 대체할 최우선 공급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 아래 정부와 기업의 대책마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도 정부는 기술향상기금 마련, 전용공단 조성, 세제혜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국 섬유산업 체질강화에 발벗고 나섰으며 기업들 역시 생산설비와 제품 범위 확대전략으로 비용 절감을 시도, 저임금을 바탕으로 하는 기존 가격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홍콩의 경우, 중국 원산지 제품의 재수출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작년에 체결된 홍콩-중국 경제협력강화협정(CEPA)에 따라 양국 간 무관세 교역이 가능해져 중국 생산기지 활용이 빛을 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대중국 의류 원부자재 수출 비중이 높은 홍콩으로서는 섬유수입쿼터 폐지 이후 중국의 섬유류 수출이 늘어남에 따라 동반상승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디자인 개발, 품질관리, 마케팅 강화 등으로 앞으로 격화될 타 수출국과의 경쟁에서 돌파구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 밖에 태국, 베트남, 터키, 필리핀 등 주요 수출국들도 섬유수입쿼터폐지가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과 치열한 시장쟁탈전을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를 보이면서도 기술개발, 제품 차별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자국 섬유산업 구조조정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과 대책을 각각 마련했거나 마련 중이다.
코트라 관계자는 "우리의 경쟁국들이 섬유수입쿼터 폐지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고 전하고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체질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