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12-20 09:29
(광양=연합뉴스) 광양항과 부산항 컨테이너부두 증설을 재고하는 대신 배후시설과 산업도로 등 항만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이같은 지적에 대해 항만운영사, 선사, 항운노조, 상공회의소 등은 물론 자치단체와 해양수산청관계자까지 모두 공감해 정부의 정책 수정이 뒤따라 할 것으로 보인다.
‘광양항 활성화 추진기획단'은 19일 오후 전남 광양항 컨테이너부두공단에서 최근 정부의 대 중국 광양항 포트세일(Port Sales) 평가와 내년 물동량 확보 등을 위한 회의를 가졌다.
회의에서 S,H 항만운영사 대표와 강순행 순천.광양상공회의소 회장 등 광양항 홍보를 위해 이달 초 중국을 1주일간 방문했던 각계 인사들은 "정부에서 항만 확장보다는 화물 유치를 위한 투자를 우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대해 광양시 관계자도 적극 동조하고 나섰으며 정부측을 대표한 해양청 관계자들까지 공감을 표시했다.
참석자들은 "상하이(上海)나 홍콩(香港), 심천(深土+川) 등 중국 항만들이 선석당 연간 100만TEU까지 컨테이너를 처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2011년 3천만TEU를 처리키 위해 광양항과 부산항에 90여개 선석을 확보하려는 계획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2011년 3천만TEU 처리 가능성이 희박한데다 설령 목표 물량을 확보한다해도 30-40개 선석이면 처리가 가능해 과잉투자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1개 선석에 1천억-2천억원의 막대한 국고가 투입되는 항만 증설을 재검토하거나 공사 속도를 늦춰 절약되는 예산을 화물유치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홍보 등에 나서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항만 건설에 국력을 소비해 정작 화물 유치 시기를 놓친다면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올 수도 있다는 분위기였다.
특히 광양항의 경우 주변 자체 화물량이 적은데다 배후부지 등 사회간접시설 마저 갖추지 못해 화물유치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어서 정부의 특단의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부에서 광양항이 자생력을 갖도록 인프라 구축 일정을 앞당기고 부산항에 치우쳐 있는 화물 일부를 일정기간 광양항에 유치할 수 있도록 물동량 배분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광양항이 환적화물기지가 되려면 기항 선박들을 늘려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량의 자체물량이 있어야 하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호남지역 화물마저 절반 이상이 부산 등 다른 항만에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날 광양항 운영사들은 내년 처리예상량을 올해 처리목표량(150만TEU)보다 적은 135만TEU로 보는 등 앞으로 화물 유치가 국제적인 경쟁 속에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 놓아 화물유치 지원책 마련의 시급성이 더욱 부각됐다.
이와 관련 일부 선사는 "광양항 이용에 따른 각종 인센티브 확대와 항만 배후.편익시설 조기 건설, 정부의 활성화 지원 등이 있을 경우 앞날이 어둡지만은 않다"며 정부의 지원을 촉구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회의는 정부의 항만 증설 정책을 거론, 비판한 첫 회의여서 파장이 예상돼 앞으로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의 대응이 주목된다.
참석한 한 운영사 관계자는 "이같은 문제점은 오래전부터 일부 운영사와 선사,화주 등 간에 거론되고 일부 학술회의에서 지적됐으나 광양.부산지역민과 국회의원들의 반발을 우려해 공론화되지 못했다"며 "이번 기회에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덕일 여수해양청장은 이날 회의 결과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양부에 보고할 방침이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