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7-30 11:02
국내 대기업들이 택배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는 것은 어제오늘일이 아니다.
삼성의 HTH, 신세계의 세덱스, 제일제당의 CJ 등 주요기업들이 국내 택배시장에 진출했고 LG, SK, 롯데 등이 진출할 계획을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밖에도 미국의 DHL, UPS, FEDEX 등이 이미 한반도에 상륙해서 본격적인 국내택배시장진출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고 야마토운수, 일본통운 등도 그 기회를 엿보고 있다. 이에 현대경제연구원의 강용중연구위원은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춘추전국의 양상은 국내 택배산업의 역사가 짧다는 점, 그리고 안정적인 시장질서가 자리잡지 않았다는 점을 강연구위원은 들고 있다. 한진이 1992년 택배시장에 진입하고, 뒤이어 대한통운과 현대택배가 93년과 94년에 각각 택배시장에 진출함으로써 기초적인 시장질서 틀이 잡혔을 뿐 확고한 시장 지배적 사업자가 존재사업자가 없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또한 최근 택배시장의 성장성이 직접 확인되고 있으므로, 신규진출에 따른 리스크도 상당한 폭으로 줄어든 것이 사실이다.
주지한 바대로 택배시장은 전자상거래를 비롯한 무점포판매의 폭발적인 증가, 제품 배송에 대한 소비자욕구의 고도화에 따라 택배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시장규모는 93년 850억원, 96년 5,000억원에서 2000년에는 1조원을 상회하는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택배시장의 급성장을 초래한 배경에는 통신판매, 홈쇼핑, 인터넷쇼핑몰 등 무점포 전자상거래의 급팽창과 질 높은 제품배송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택배시장의 견인차로 주목받고 있는 전자상거래의 경우, B2C중심에서 B2B전자상거래 영역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B2B관련 택배시장이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중요해짐에 따라 제품이 생산자에게서 소비자에게로 이전되는 물류프로세스가 주목받고 있는 것도 택배시장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 경제의 디지털화와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해주는 유통 및 물류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고 반대로 소비자는 제품 자체보다 제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서비스를 제품선택에서 중요한 고려변수로 삼고 있다.
따라서 고급의 물류 혹은 택배서비스를 확보하는 것은 고객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적 조건이 되고 있다.
택배사업과 관련된 규제들이 대폭 완화되어 신규진입에 따른 제도적여건이 개선된 것도 사실이다.
97년 종전의 ‘자동차운수사업법'에서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이 분리되어 제정되면서 택배(소화물일관수송업)사업이 별도의 업종으로 구분되지 않고 일정한 기준을 갖추어 등록하면 누구나 영업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차량1대만 소유한 택배업자라도 등록에는 아무 문제가 없게 된 것이다. 사실 이로 인해 택배사기사건 등을 포함해 택배시장질서가 문란해진 결과도 불러일으켰으나 택배시장자체의 규모를 확대시킨 것은 사실이다.
중복투자 위험, 물류정보화 통해 물류효율성 제고해야
그러나 제한된 시장에 대해 과다한 진입경쟁이 이루어지면서 중복투자에 따른 비효율성과 인력확보경쟁에 따른 시장질서 교란 등의 문제점이 대두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막대한 장비와 영업네트워크가 소요되는 산업의 특성상 다수의 기업들이 자체택배망을 구축하고자 할 경우 과다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한정된 시장에서 과열경쟁이 이루어짐에 따라 택배산업의 심각한 수익성 악화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신규진출업체의 인력확보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인력의 불균등한 수급구조가 심각한 문제도 대두될 수 있다는 것이 강용중 연구위원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강연구위원은 4가지의 정책적방향성을 들었다. ▶먼저 국가적인 물류인프라의 재구축과 고도화가 필요하다는 것. 일차적으로는 도로를 포함한 수송기반의 확충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공동집배송 등의 거점시설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업체간 협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서비스를 제약하는 제도적 장애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주거 밀집지역과 상가지역의 화물차 통행을 무조건 제한할 것이 아니라 화물차 전용 주차장 설치를 유도하여 고객 밀착형 서비스를 가능하게끔 제도적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정보화시스템의 확산을 통한 범국가적 물류효율성을 제고토록 유도해야 한다. 물류표준화를 선도하고, 정보화투자에 대한 금융세제상의 지원확대를 통해 택배업체들이 조기에 물류정보시스템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해나가야 한다. ▶물류전문가 육성을 통한 택배산업의 질적 고도화를 지원해야 한다. 현재 전문인력의 수요에 비해 공급이 훨씬 부족하므로 물류, 유통 전문가 교육을 위한 국가차원의 교육시스템을 정비하는 것이 시급하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