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한국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로 저출산·고령화를 선택했다. 응답자의60.5%는 기후위기, 인구감소, 저성장, 양극화 등과 같은 사회문제보다 한국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사회문제 대응에 관한 정책이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기업의 경영전략 측면에도 이슈를 제기하고 있다.
최근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ESG 경영을 추진하고 있지만 대부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E)적 접근에 치우쳐져 있다. 국민이 저출산·고령화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S)적 접근이 집중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고령화인식지수를 측정한 결과, 고령층 혹은 고령층에 접근할수록 뚜렷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령화에 대한 인식정도가 연령대별로 온도차가 있다고 해석된다. 고령화 대응을 위한 첫 단계는 국민의 고령화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이는 일이다. 노인빈곤, 노후준비 부족 등과 같은 문제를 20·30대부터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의식수준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2021년 하반기에 고령화인식지수를 처음 개발하고 측정했지만, 2022년 상반기에 수행될 조사에서는 이 지수가 상승하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고령화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은 하고 있으나, 이를 당장 준비하고 대응하지는 않고 있다. 고령화에 대한 관심과 한국의 미래에 고령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는 매우 높으나, 상대적으로 고령화에 대한 준비는 현격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일자리를 비롯한 노후의 경제적 준비와 대응은 매우 부족한 수준이다.
국민은 고령화에 대한 준비 수준이 현저히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가계나 기업에 비해 정부의 고령화 문제에 대한 대응이 현저히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정부가 고령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약 15.4%에 불과하지만, 대응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응답자는 약 66.4%에 달한다.
고령화 대응에 대한 역할은 정부에게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국민은 고령화 대응에 대한 책임과 역할이 정부(40.3%)에게 있고, 가계(38.2%)의 역할도 중대하게 인식한다. 특이할 점은 저연령층일수록 정부의 책임을 더 중요시하고, 고령층 혹은 고령층에 접근할수록 정부보다는 가계 스스로에게 고령화 대응의 책임이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가계·기업·정부는 각각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먼저, 가계는 노후준비(재테크 등 경제적 준비)가 절대적으로 중요하고, 제2의 삶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기업의 경우 정년보장 등의 근로 안정화에 기여하고 고령 친화 경영인 시니어 상품 개발, 고령자 친화 유통환경 조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기초노령연금 등 노인 빈곤 문제 해소 노력과 신혼부부 주거안정 도모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고령사회연구센터 김광석 연구본부장은 "기업은 S(사회) 요소를 강조한 ESG 경영을 시도해 차별화를 추구해야 한다. ESG 열풍이 불고 있지만, 기업들의 대응이 E(환경) 요소에만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 한국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가 저출산·고령화라는 사회문제에 있음을 착안해 ESG 경영을 추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저연령층에 대한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고령층일수록 상대적으로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중대하게 고려하고 있으나, 20대와 30대는 그렇지 않은 실태다. 현안에 대한 인식도 제고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첫 단추가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공동연구에 참여한 유한킴벌리의 CSR 책임자는 “고령화는 현실이고, 우리 사회의 모든 주제들이 가능한 모든 노력들을 기울여야만 하는 시대를 맞이했다”며 “시니어 세대의 경험과 지식, 잠재력을 사회, 경제의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고령화를 사회 전환의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박재형 기자 jhpark@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