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남북정상회담과 최근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성사되면서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남북경협’ 테마주가 반짝 상승세를 타는가 하면 건설 물류 유통 등 연관 산업에서도 ‘북풍’에 대한 전망이 쏟아지며 들뜬 분위기가 감지된다. 국내 항만 도시들도 다가올 남북 교역 재개를 미리 준비하고 있다.
각 항만 도시 “남북 경협 준비, 시작에 의의”
국내 항만공사나 지자체에서는 각 항만의 지리적 이점이나 과거 대북 교역 이력을 내세우며 태스크포스팀(TF팀)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 사업 계획 수립보단 동향을 살피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각 관계자들은 첫 발을 뗀 데 의의를 두는 모습이다.
항만공사 중에서는 인천항만공사(IPA)가 가장 먼저 남북경협을 준비하고 있다. IPA는 지난 5월21일 ‘남북경제협력TF’를 구성, 매주 남북 상황을 점검하며 과거 사례를 연구하고 있다. 이들에 따르면 과거 인천항의 대 북한 물동량은 지난 2005년부터 2010년 천안함 사건으로 교역이 단절될 때까지 총 4억4034만t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된다. IPA 관계자는 “외부 전문가와 함께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지속적인 업무 수행으로 남북 교역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동해와 울산에서는 지자체가 나섰다. 동해시는 지난 5월4일부터 ‘북방경제중심도시 도약을 위한 TF팀’을 운영하고 있다. 국방물류분과, 건설관광과, 총괄지원과 총 3개분과를 중심으로 건설 자재·장비 운송, 관광 자원 항로 개설 등 남북 교류 방안을 모색 중이다.
동해항은 과거 수산물과 수해 복구 지원 물자를 운송하던 항이며 금강산 유람선인 <금강> <봉래>호가 출항했던 곳이기도 하다. 동해시 관계자는 “과거 사례를 중심으로 방법을 찾고 있다. 지방선거로 어수선한 상황이 가라앉은 뒤 더 집중적으로 업무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시는 유관기관을 총동원해 TF팀을 꾸렸다. 울산시청 창조경제본부와 울산항만공사(UPA) 울산발전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울산상공회의소가 소속됐다. TF팀은 김대중 정부 당시 ‘대북지원 물류거점항’이었던 이력과 중국, 러시아, 일본의 주요 항구와 연결된 지리적 이점을 살려 관련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울산시는 “남북 교류에 필요한 기금 마련이 우선이라 관련 조례부터 개정할 계획이다”라며 목전에 둔 계획을 밝혔다. UPA 측은 “정부 정책의 변동성이 높을 가능성이 크다”며 “대북재제 해제 시기가 발표되고 대북 교역에 관심을 보이는 기업들이 더 생기면 본격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 같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부산의 경우 부산항만공사(BPA)의 기존 부서에서 대비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BPA 관계자는 “이미 국제전략사업부가 대북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추후 타 부서나 외부 전문가 등 추가 인력이 필요하면 별도 실무조직을 구성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남북 교역 초반 때 항만 역할 커…北항만 조사 필요
항만 도시들이 남북경협을 기대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남북 교역 초기 단계에 항만이 중책을 맡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북한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남북 경협이 재개될 경우 항만 투자가 가장 먼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북한의 육상인프라는 오랫동안 방치돼 철로는 평균 시속 20km 이상 속력을 내는 것이 불가능하며, 도로도 대부분 비슷하다는 이유에서다. 육상인프라가 제 역할을 하기 전까지 항만도시 중심의 거점형 개발과 지역경제협력이 타당하다는 의견이다. 북한 내 교역항은 9개가 있고, 남포·원산·나진항에서 가장 많은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항만도 육로 못지 않게 낙후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가들은 남북 교역에 앞서 북측 항만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우수한 교수는 “북한 항만 개·보수 작업을 위한 현지 조사 및 연구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우 교수는 정부에서 ‘항만기본계획’을 세워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우 교수는 “아직 북한 측과 어떤 논의도 오간 게 없기 때문에 성급한 추진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시설 개선도 중요하지만 교육을 통한 인력 양성 및 충분한 연구가 병행돼야 남북 항만 교역 활성화가 제대로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박수현 기자 shpark@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