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역사에서 가장 짧은 시간에 가장 넓은 땅을 차지한 국가는 어디일까? 바로 칭기즈칸이 세운 몽골 제국이었다. 칭기즈칸은 처음에 40여 개국, 7백 여 민족의 땅 777만㎢(제곱킬로미터)를 정복하였다. 이는 유럽의 3대 정복자인 알렉산더, 나폴레옹, 히틀러가 정복한 땅을 모두 합친 것보다도 넓은 크기였다.
그러나 칭기즈칸의 사후에도 몽골제국은 계속 팽창하여 서쪽으로는 중부 유럽에서 동쪽으로는 한반도까지 유라시아 대륙 전체에 걸쳐 총 약 3000만㎢(제곱킬로미터)에 해당하는 역사상 유래 없이 넓은 땅을 정복한 대제국이 되었다.
그렇다면 칭기즈칸은 어떻게 그토록 많은 전쟁에서 이겨 그렇게 넓은 땅을 차지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끝없이 넓은 땅에 각기 다른 언어와 문화, 종교를 가진 무수히 많은 민족들이 섞여 사는 몽골제국은 어떻게 공중 분해되지 않고 오히려 오랜 기간 더 발전할 수 있었을까?
전 세계의 많은 역사학자들이 이러한 질문에 대답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고, 다양한 답을 내놓았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이와 같은 일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비결은 바로 시대를 앞서간 물류의 힘에 있다. 칭기즈칸의 몽골 제국이 군사 작전과 제국의 통치에 활용했던 물류 기법은 현대의 물류 시스템을 통해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간편진열포장 방식의 몽골군의 전투식량 ‘보르츠’
RRP(retail ready package)라고 불리는 간편진열포장은 공장에서 제품을 처음 포장할 때부터, 매장 내에서 이를 개봉하여 다시 정리할 필요 없이 그대로 진열선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포장하는 기법이다. 제품의 보관 및 운송에 필요한 파렛트의 기능에 매장에서의 트레이를 통한 진열기능을 하나로 합친 개념으로, 물류와 판매를 하나의 단일 프로세스로 구성할 수 있는 기법이다.
몽골군의 전투식량인 보르츠에서 이러한 간편진열포장 방식과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보르츠란 소고기의 살코기 부분만을 수분이 아예 없을 정도로 바싹 건조시킨 후 가루로 빻아서 깨끗이 씻은 소의 방광에 보관하는 몽골의 전통 음식이다. 소 한 마리의 고기를 보르츠로 만들 경우 소 방광 2개에 다 들어갈 정도로 부피가 줄어들어 병사 한 사람이 1년치 식량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먹을 때는 오늘날의 컵라면처럼 보르츠를 뜨거운 물에 서너 숟가락 정도 퍼 넣고 2~3분 기다리면 된다.
보르츠는 처음 제작할 때부터 소의 방광에 보관하도록 제작되어, 몽골군이 말에 주머니처럼 쉽게 달고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었으며 먹을 때도 따로 가공할 필요없이 소의 방광에서 간편히 꺼내먹을 수 있었다. 보르츠에 사용된 소의 방광은 보관 및 운송에 필요한 파렛트의 기능에다 소비에 필요한 사실상의 진열 기능까지 합쳐진 일관 프로세스의 기능을 하고 있었다.
이렇게 효율적인 전투식량 보르츠를 통해 몽골군은 별도의 보급 부대 없이 먼 거리를 신속히 원정할 수 있게 되어서 몽골군의 핵심 역량인 다른 어떤 군대도 따라올 수 없는 기동력을 갖출 수 있었다.
유라시아 대륙을 잇는 몽골제국의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 ‘역참제’
물류 시스템을 구성하는 3대 요소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기 등에 해당하는 운송수단(모드, Mode), 동종 또는 이종의 운송수단이 연결되는 지점 또는 간선과 지선이 교차하는 지점인 운송연결점(노드, Node), 운송수단이 이용하는 운송경로(링크, Link)라고 할 수 있다. 물류시스템이 효율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운송수단, 운송연결점, 운송경로가 각각 자신의 목적에 맞게 적절히 설계되어야 하며 3가지 요소가 체계적으로 결합하여 통합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보았을 때, 몽골제국의 역참제는 당대를 기준으로 운송수단, 운송연결점, 운송경로가 각각 완벽히 갖춰져서 체계적으로 결합된 굉장히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이었다.
먼저 역참제의 운송수단은 말이었다. 말은 자동차가 발명되기 이전에 인간이 활용할 수 있었던 가장 빠른 교통수단으로서 신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목민족이었던 몽골 제국에게 풍부했던 자원이었으므로 경제성도 가지고 있다. 또 각 역참마다 300~400마리의 갈아탈 수 있는 말이 구비되어 있어 안전성과 편리성의 특징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역참제의 운송연결점은 말 그대로 역참이다. 역참은 중간 중간에 휴식을 취하거나 말을 갈아탈 수 있도록 만든 운송연결점으로 몽골제국 전역에 약 30km 간격으로 설치되었다. 역참은 갈아탈 말을 제공하는 일종의 환적 터미널의 역할을 하였고 여행자들을 위한 음식과 숙소도 제공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역참제의 운송경로는 말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로써 몽골제국 전역에 걸쳐 있으므로 서쪽으로 유럽에서 동쪽으로 한반도에 이른다. 특징적인 점은 운송 경로가 직선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홍수 등의 자연 재해가 발생해서 해당 역참으로 가는 길이 막힌다면 다른 역참으로 경로를 수정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역참제에서는 오늘날 퀵서비스와 유사한 기능이 있었다. 특별히 문서를 빨리 전달하기 위해 말이 아닌 사람이 특수복장을 하고 역참과 역참 사이를 구보로 달려서 다음 주자에게 문서를 전달함으로써 목적지까지 더 짧은 시간에 도달케 하는 제도였다. 이 때 그러한 전령을 몽골어로 구이치라고 불렀다.
이러한 역참제를 통해서 몽골 제국은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사람과 물자, 정보를 원활히 이동시킴으로써 광대한 제국을 쉽게 통치할 수 있었다.
< 길준영 대학생기자 gilmon0121@duam.net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