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이 견실한 물동량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선 연근해선사들의 기항이 더욱 늘어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형얼라이언스와 더불어 연근해선사들의 입항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정책적인 지원이 병행돼야 환적 물동량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수호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지난달 26일 서울 로얄호텔에서 열린 제60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중국항만의 급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부산 신항은 원양·대형선사를, 북항은 연근해·피더선사를 연계해 발전시켜 나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개회사에서 이 과장은 “항만의 과도한 개발로 인해 우리나라 부두운영사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해운업 또한 벌크선 운임지수가 사상 최저치로 폭락하는 등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해수부의 지난해 주요 추진실적에 대해 이 과장은 지난해 해운보증기구를 설립한 데 이어, 500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며 해운선사들의 성장기반 구축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밝혔다. 또한 톤세제를 2019년까지 5년 연장하는 것은 물론 1조원 규모 선박은행 조성 결정을 지난해 주요 추진실적으로 꼽았다.
이밖에 연안여객선 전산발권 전면 도입과 선원 교육훈련 강화와 개선방안 마련도 지난해 주요 성과에 포함됐다. 항만 부문에서는 4개의 항만배후단지에 총 132개의 기업을 유치해 전년 대비 60% 늘어난 276만TEU를 달성한 것이 추진실적에 포함됐다.
“선박 대형화는 부산항에 긍정적”
주요 항만 특화 발전추진과 관련해 이 과장은 최근 진행 중인 선박대형화는 부산 신항의 환적물량 증가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선사들이 북중국 항만보다 부산신항을 기항할 수 있도록 해수부는 정책적인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최근 고려해운, 흥아해운, 남성해운 등을 중심으로 해상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대형얼라이언스 뿐만 아니라 연근해선사 유치에 신경써야 부산항이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양항이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발전방향이 재정립돼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 과장은 일반화물 대비 물동량 증가세가 낮은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전략을 점검·보완해 기존 시설에서 물량을 창출해야한다고 밝히며, 광양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현재 시설규모로 볼 때 300만TEU까지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더 많은 물동량을 유치하기 위해선 부산신항에 기항하는 얼라이언스 유치에 각별히 신경써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항은 2017년 신항 배후단지 개장에 대비해, 입주기업 유치 사전 마케팅을 병행하는 것은 물론 물동량 확보와 활성화 전략수립에 힘써야한다고 밝혔다.
올해 해운업 시황회복 ‘불투명’
올해 본격적인 해운시황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선진국의 경기회복으로 물동량 증가가 예상되나 초대형 선박의 인도로 인한 선복량 증가로 시황회복이 미약하다는 분석이다. 이 과장은 “전반적으로 미국과 유럽의 경기가 회복되고 있지만 중국 경제가 연착륙되고 있어 해운업의 시황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벌크선운임지수(BDI)는 2013년 하반기 이후 반등세를 보였으나, 최근 사상 최저치인 550까지 곤두박질쳤다. 건화물선 시황에 대해 이 과장은 철광석 등 주요 품목의 물동량 감소로 시황회복이 불투명할 것으로 진단했다.
중국 항만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우리나라 항만의 컨테이너 물량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점쳐졌다. 부산항의 컨테이너 항만 순위는 지난해 세계 6위로 떨어졌으며 순위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이 과장의 설명이다. 이 과장은 “환적물량의 증가세를 봤을 때 아직 부산항의 경쟁력은 충분하다”고 밝히며 “부산항을 기항하는 선사가 늘고 있고 약 80개의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어 전략을 잘 짠다면 항만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유휴화되거나 노후된 항만도 새롭게 탈바꿈한다. 해수부는 올해 노후·유휴항만을 고부가가치, 신규물량 및 일자리 창출의 경제성장 동력원으로 재구성할 방침이다. 이 과장은 항만을 거점으로 신해양산업을 집중육성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시키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이 과장은 “해운위기 극복을 위한 유동성 지원을 확대키 위해 2015년 만기 회사채 차환과 중견·중소선사의 회사채 발행 지원을 위해 각별히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올해 말 일몰 예정인 국제선박에 대한 지방세 감면을 연장해 선사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지원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