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도 부산 북항에 매서운 칼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신항 개장 이후 급감한 컨테이너 물동량과 낮은 하역료는 실적악화로 이어지며 부두운영사들의 목을 죄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컨테이너 하역료 인가제 시행과 부두운영사 통합 등의 대안을 마련했지만 업계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컨」 처리실적 나아졌지만 여전히 어려워”
부산 신항 개장 이후 물동량이 급감한 부산 북항은 여전히 난기류에 휩싸여 있다. 지난해까지 감소세를 보인 컨테이너 물동량은 올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낮은 하역료 등으로 북항의 부두운영사들은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특히 항만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해수부가 꺼내든 부두통합 카드는 아직까지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10월 감만부두 운영사 세방, 인터지스, 한진해운은 통합운영회사 설립을 위한 주주협약서를 체결한데 이어 12월4일 세 운영사의 통합법인인 BIT(부산인터내셔널터미널)를 출범했다. 세 운영사는 지분율을 각각 33.3%씩 나눠 갖고 감만부두 4개 선석 중 3개 선석을 운영 중이다.
하지만 북항 운영사들의 생존을 위해 진행된 부두통합이 이렇다 할 효과를 보고 있지 않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통합이 진행된 감만부두의 올해 1~9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83만9354TEU로 전년 동월 112만1034TEU 대비 25.1%나 급감했다. 특히 9월 월간 실적은 전년 대비 34.3% 감소하며 북항의 전체 물동량 감소를 이끌었다.
감만부두를 기항하던 선사들의 이탈이 실적악화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오랜 고객이었던 다퉁국제항운(EAS인터내셔널)이 신감만부두(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흥아해운과 동진상선이 신선대부두(CJ대한통운부산컨테이너터미널)로 각각 옮겨갔다.
BIT터미널 관계자는 “선사들이 비용절감을 목표로 공동운항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고, 대형얼라이언스 출범 등으로 부두를 이전하면서 어려운 상황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2012년과 2013년에 -11.5% -10%의 하락세를 보인 감만부두의 컨테이너 물동량 감소폭은 올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 있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다행히 감만부두를 제외한 북항 부두는 최근 들어 상승세를 타고있다.
지난해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 실적에서 6.2%의 성장률을 기록한 자성대부두(한국허치슨터미널)는 올해 9월까지 전년 대비 1.6% 증가한 103만1799개의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했다. 자성대부두는 2012년에 -13%의 감소세를 기록한 뒤 지난해 반등에 성공했다.
올해 1월 통합을 이뤄낸 신선대부두는 2013년에 전년 대비 26.5% 급감한 174만4861TEU를 처리하며 북항 터미널 중 가장 큰 물동량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해는 대폭 개선된 성적을 신고 중이다. 올해 9월까지 신선대부두에서 처리된 컨테이너는 154만9407개로 전년 대비 14.3% 증가했다. 9월 신감만부두는 전년 대비 11% 성장한 103만2732TEU를 처리하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지난해 9.6%의 물동량 감소를 보인 신감만부두도 올해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컨테이너 처리 실적이 지난해와 비교해 호전됐지만 북항 부두운영사들은 아직도 상황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북항 부두운영사 관계자는 “물동량이 그나마 늘어난 이유는 연말이 가까워지자 밀어내기 물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지난해와 비교해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호전됐지만 메울 수 없는 적자가 발생하다보니 상황이 좋지 않다”고 토로했다.
감만부두의 실적쇼크 여파로 부산 북항의 전체 물동량 감소세 역시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9월까지 부산 북항에서 처리된 컨테이너 물동량은 479만6951TEU로 전년 대비 5.7% 감소했다.
부산 북항은 2009년 전년 대비 21.8% 급감한 928만9534TEU를 기록한 이후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870만9107TEU(6.2%↓) 843만3841TEU(3.2%↓)의 역주행을 이어갔다. 2012년과 2013년에도 9.8% 11.6% 감소하며 여전히 심각한 물동량 부진에 빠져있다. 일부 부두운영사의 실적호전이 북항의 위안이라 할 수 있지만 당분간 추세적인 물동량 감소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얼라이언스 출범은 달갑지 않은 소식
선대의 기항지 변경은 부산 북항에 또 다른 악재요소 중 하나다. 그 대표적인 예가 현대상선과 한진해운 등 컨테이너선사 주요 6사로 구성된 G6 얼라이언스의 신항 이전이다.
2012년 G6는 미주 노선의 기항지를 신선대부두에서 부산신항국제터미널(PNIT)로 이전했다. G6에 소속된 글로벌 선사들이 북항에서 신항으로 기항지를 변경함으로써 2012년 신항의 물량 처리비중은 북항을 압도하기 시작했다.
2012년 시작된 신항으로의 물량 쏠림 현상으로 2009년 77.5%를 보였던 북항의 점유율은 2013년 38%로 곤두박질쳤다. 올해 9월은 34.8%까지 떨어졌다.
정기선 시장의 구조개편이 곧 북항 침체 신항 활성화로 이어졌기에 부산 북항 운영사들은 ‘2M’, ‘O3’ 등 굵직굵직한 대형얼라이언스의 출범에 냉담한 반응이다. 독립선단 시절 북항을 기항해왔던 외국선사가 얼라이언스 결성과 함께 부산 신항으로 뱃머리를 돌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깊은 수심과 최신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인프라는 높은 항만생산성을 요구하는 대형선사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다. 일부 선사들의 신항 이전이 북항 취항선사들의 도미노 이탈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것이 북항 부두운영사 관계자의 주장이다.
부산 북항 부두운영사 관계자는 “O3와 2M 등 대형얼라이언스의 출범은 부산 신항에만 좋은 일이다”며 “북항으로선 물동량 이탈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라고 밝혔다.
‘컨’하역료 인가제 실효성 거둘까
부산 북항 하역료 현실화를 목적으로 도입된 컨테이너 하역료 인가제의 경우 항만업계내에서도 찬반을 두고 온도차가 감지되는 등 정리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컨테이너 하역료는 단가 후려치기 등 과당경쟁으로 인해 원가를 밑도는 낮은 하역료 구조가 고착되면서 부두운영사의 경영악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대규모 물량 처리능력을 갖춘 일부 외국적 선사만 이득을 본다는 국부유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부산항에서는 지난 10여년간 컨테이너 물동량이 두 배 이상 늘었음에도 하역료 단가가 낮아지는 바람에 부두운영사의 경영수지가 날로 악화됐고, 항만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져갔다. 이에 해수부는 하역료 신고제를 인가제로 전환하는 항만운송사업법 개정안을 지난 9월에 시행했다. 컨테이너 하역료 인가제는 현행요금을 유지하다 내년 3월에 실질적인 인가요율이 적용될 예정이다.
부산 북항의 어려움을 고려해 추진된 하역료 인가제지만 업계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인가제를 통한 하역료 인상은 필요하지만 자칫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하역료 인가제 도입에 대해 찬성보다 반대 의견이 많아졌다는 얘기도 들려온다. 또 인가제 전환은 선사들에게도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오르는 하역료로 인해 부두운영사의 이익은 증가하지만 선사들은 그만큼 물류비 추가부담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부산 북항의 평균 컨테이너 하역료는 3만5천~4만원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전히 낮은 수준인 하역료를 끌어올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물동량 유치 역시 필수라는 것이 부두운영사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북항 부두운영사 관계자는 “하역료가 너무 갑자기 오르지 않는 TEU당 1만~1만5천원만 올라도 소원이 없겠다”고 밝히며 “하역료 인상보다 물동량 유치가 더 시급하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올해 안에 인가제 운영협의체(가칭)를 구성하겠다는 심산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협의체는 인가요율에 대한 적정수준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며 “선사와 화주, 부두운영사, 정부 등의 인원으로 꾸려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해수부는 하역료 인가제와 별도로 북항과 신항의 기능을 재정립하겠다는 방식으로 하역시장 안정화를 꾀하겠다는 구상이다. 신항은 글로벌 선사의 환적 거점항만으로, 북항은 아시아 운항선사의 거점항만으로 구분해 육성할 방침이다.
부산항대교 안에 있는 자성대부두는 항만재개발 또는 해양경제특구로 활용하고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신감만부두는 컨테이너 부두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전략이다.
정부는 현재 추진 중인 자성대부두 재개발 마스터플랜 용역에 따라 개발방향과 착수시기를 검토할 계획이다. 올해 6월 해수부가 일반설계용역사에 발주한 마스터플랜 용역은 내년 6월에 마무리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북항 전체를 대상으로 한 발전안을 현재 마련 중이며 올해 안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