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운무역업의 중심지로 성장한 부산이 이제는 해양금융종합센터와 해운보증기구 설립을 통한 해운금융허브로의 변신으로 새로운 성장을 이끌어 가기 위한 큰 전환점을 맞게 됐다.
그동안 단순한 선박의 출입항에 따라 항만산업 시황이 좌지우지되던 시대에서 벗어나 조선· 금융을 복합한 새로운 산업 창출을 통해 부산항의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는 맥락에서 출발한 해운보증기구 설립이 이제 기금 5천5백억 원을 확정 짓고 올 연말 설립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또 동시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정책금융기관으로 구성된 해양금융센터는 각 기관 내 선박, 해양금융 지원 조직이 역시 오는 9월 부산국제금융지원센터(BIFC)에 이전 설립을 앞두고 있어 부산지역 내 해운항만 산업에 큰 활력을 줄 전망으로서 해양금융센터는 수출입은행이, 해운보증기금은 산업은행이 주도해 이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구용역을 진행한 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설립되는 해운보증기구의 기금은 정부 출연 2700억원과 민간 2800억원 등으로 전체 5500억원의 규모로 설정됐다.
산업은행은 기구의 핵심 역할로 선박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한 후순위대출 보증을 제시했다. 당초 함께 논의됐던 선박은행(Tonnage Bank)과, 잔존가격 보증(RVI) 등은 역할에서 제외됐다.
선박은행은 대출원리금 상환이 제 때 이뤄지지 않아 부도가 날 경우 해운보증기구가 해당선박을 회수하되 즉시 매각하지 않고 보유하면서 운용하다 가격이 오르면 파는 기능이다. RVI는 선박의 잔존가격이 실제 상환금액의 일정비율 이하로 하락했을 때 향후 대출금 상환을 보장하는 기능이다.
다만 선박운용회사 등이 선박은행 역할을 할 때 후순위대출을 보증하는 방법으로 선박은행 운영을 측면 지원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기관의 설립에 대비해 부산시는 지난 5월부터 해양금융종합센터 및 해운보증기구 설립을 위한 지원팀을 구성하고 적극지원에 나서 이들 기관의 안정된 부산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부산시 측은 이번 양 기관의 이전 및 가동이 본격화 되면 국내 최대의 수출입항만에서 금융산업과 해양·선박산업의 융합을 통한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기에 앞으로 부산이 동북아해양금융 중심지로 부각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 부산=김진우 기자 jwkim@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