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항운협회의 구보쇼조(久保昌三) 회장은 11일 개최된 회장단 회의·상임이사회가 끝난 후 회견에서, 세계 최대 정기선사인 머스크라인과 2위인 MSC, 3위인 CMA CGM이 내년 상반기 출범시킬 예정인 P3 네트워크에 대해 “일본으로 기항되는 것들도 포함해 중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선사측의) 움직임을 중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기간항로의 대규모 재편 움직임이 일본항만의 작업체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동시에 항운질서유지 시점에서 “현재의 각 선사들과 항운 각사의 관계를 기준으로 공정한 작업 체제를 구축하는데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도 말했으며, 하역 서비스 수준과 항운질서의 유지 양립이 필요하다는 기본자세를 표명했다.
일본 항만에서는 선사가 컨테이너선의 선형, 기항터미널을 변경할 경우 항만노동자의 고용, 취로(就勞)에 대한 배려 관점에서, 항만노조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선사가 일본항운협회에 의뢰해 일본항운협회가 중간역할을 하는 형태로 조합측과 협의를 하는 스타일로, '사전협의'라고 불리는 이 절차는 일본 항만의 관행으로써 컨테이너 수송이 시작되는 시절부터 정착해왔다.
최근의 기간항로 재편은 2012년 NYK와 MOL이 각각 소속된 얼라이언스 중 유럽서비스를
구보 회장은 P3 네트워크에 대해서 “세계 톱 그룹인 해외선사가 일본이라는 시장에 얼만큼 매력을 느끼고 있는지가 이야기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서비스 개시 후에는 타 그룹과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돼 당연히 항운업계에도 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일본선사와 그 그룹 항운회사만의 문제였던 G6 안건보다도 중대한 안건임을 시사했다.
그는 또 “내년 초 이후 언제부터 서비스가 시작되는 지에 따라 다르지만, 연내에도 사전협의 절차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면 현재의 각 선사들의 일본 비율을 고려하면서 항운회사들이 공정하게 분담하는 시스템을 항만별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하며 앞으로 본격화되는 사전협의 절차도 염두에 두면서 노사를 포함한 업계내 조정을 착실히 진행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P3 네트워크를 시작으로 동서기간항로의 대형 재편에 대해서는 항만노조도 대응을 강화했다.
전국항만노동조합연합회는 이달 결정될 예정인 2013년도 운동방침안에서 '사전협의제도의 충실강화'를 개별적인 대책사항에 포함시켰다. 연합회는 이 중에서 고용 및 직업범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응을 요구함과 동시에, 어떤 형태로든 집단적 고용보장 시스템이 가능하도록 검토할 것을 명기했다.
구체적으로는 업계측에서 그룹화 추진과 그룹에 따른 공동수주방식 등을 들었으며, 노사협의의 주요과제로써 대응해 나갈 것을 나타내고 있다.
< 코리아쉬핑가제트= 일본해사신문 9.12자 >
많이 본 기사
스케줄 많이 검색한 항구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