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4 07:45
국내 대형 수리조선소 설립 절실해
선협, 부산신항내 대형 수리조선소 설립 요청
현대미포조선이 지난 2005년 신조선사업으로 전환한 이후 맥이 끊겼던 국내 대형 수리조선소가 다시 돌아온다.
조선·해운업계에 따르면 한국선주협회는 최근 부산신항 내 대형 수리조선소 설립을 위한 정부지원을 요청했다. 이 요청안에는 △기반공사비용 지원 △세제혜택 △외국인 근로자 고용 자유화 조치 등이 포함됐다.
선주협회 관계자는 “부산은 북태평양~유럽 통상항로의 동북아 거점이어서 선박수리 부문에서 지리적으로 큰 이점을 갖고 있다”며 수리조선소 설립 필요성을 설명했다.
현재 국내 수리조선소는 소형 어선을 대상으로 주로 수리조선업을 영위하고 있다. 최대 수용할 수 있는 선박이 3000t급에 불과하다. 2000년대 들어 선주들의 신조선발주가 이어지면서 수익성을 고려한 대형 수리조선사들이 신조선사업으로 방향을 선회했기 때문이다.
국내 수리조선소 부재로 인한 문제점도 심각한 상황이다. 국적선사들이 선박을 수리하기 위해 중국, 베트남 등 해외 수리조선소를 찾으면서 △운항경비 증가 △해외 수리조선소 횡포로 할증수리비를 요구하는 등 불이익 가중 △안정적 수리 어려움 등을 겪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국내에는 중소형 수리조선소가 있지만, 대형선 수리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일본(15개) 싱가폴(10개) 대만(1개) 등 해운 선진국들은 대형 수리조선소를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해운 호황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선복량으로 수리조선소 수요가 늘어 사업성이 높아진 점도 선주협회의 발걸음을 가볍게 하고 있다.
실제 국적선사들은 수리조선소 사업에 이미 뛰어든 상태다. 한진해운은 중국 순화해운과 합작으로 중국 양산항 인근(저장성 취산도) 대형 수리조선소를 건립, 운영하고 있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자사 선대뿐 아니라 협력관계에 있는 선사들까지 합치면 연간 150척 이상의 물량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선박의 대형화 및 세계 각국의 선박 관련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점도 국내 대형 수리조선소 설립이 절실한 이유다.
특히 지난 1997년 ‘선박 대기오염 방지 협약’을 채택한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 관리기준을 강화하고 있어 운항선박들의 수리 소요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선급 관계자는 “전세계 모든 선박은 평균 2.5년 마다 수리조선소에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며 “지난 몇 년 동안 선대가 급증, 수리조선시장은 판매자 중심의 시장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코리아쉬핑가제트>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