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17 09:48
국내 해운업계에 일본 비상령이 떨어졌다.
낮은 가격을 무기로, 일본 해운업체들이 국내 업체들을 제치고 국내 화주(貨主)들로부터 잇따라 장기운송계약(COA)을 따내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 입찰에서는 물량을 따오지 못하고 안방 시장에서도 밀리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불경기에 눈앞의 먹거리를 놓친 국내 업체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최대 선사인 NYK는 한국전력 자회사인 동서발전이 최근 발주한 인도네시아ㆍ호주 석탄 수입 COA를 따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입찰에는 국내 해운업체 4곳도 참여했으나 NYK의 승리로 돌아갔다.
입찰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NYK가 국내 선사 대비 낮은 입찰가격을 제시하면서 동서발전이 가격 경쟁력이 높은 NYK를 낙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계약건은 연 수송규모 80만t, 연 수송비용 560만 달러로 계약금액 자체는 아주 큰 편이 아니지만, 글로벌 불황속에서 세계적 물동량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정적 물량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컸다.
국내 해운업계가 장기운송계약을 일본 등 외국 선사에 내준 것은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해 서부발전은 지난해 케이프사이즈 벌크선 2척에 대한 장기수송 계약사업자로 일본 선사 K-Line과 MOL을 선정했었고 K-Line은 지난해부터 서부발전과 총 3건, 5000만 달러에 달하는 장기수송계약을 맺었었다.
아울러 이달 말께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 되는 남동발전의 발주 건도 NYK가 입찰 자격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선주협회에 따르면 한전(자회사 포함)과 포스코의 경우 전체 대량 화물 운송량 중 10~16% 가량(지난해 기준)을 일본, 벨기에 등 외국 선사에게 맡기고 있는 상황.
일본 등 외국 선사들이 이처럼 계약을 줄줄이 따내고 있는 것은 금융비용 조달이 핵심인 해운산업에서 일본 업체들이 초저금리라는 최대 강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덕분에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의 입찰이 가능한 것.
또 우리나라의 경우 이 같은 입찰에서 해외 업체에게 문을 활짝 열어두고 있다는 점도 이유로 꼽힌다.
일본, 대만 등이 지명입찰제와 수의계약방식으로 입찰을 진행해 자국 업체가 아니면 입찰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한데 반해 우리는 문턱을 낮춰 경쟁력 있는 업체에게 계약을 주고 있는 것.
이로 인해 국내 선사들에게 우선적인 우송권을 부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해운업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다만 현재로서는 국내 선사들이 입찰에서 경쟁력을 키우는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미 입찰이 해외업체에게 개방이 돼있고 한전과 발전 자회사들도 민영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지니스 논리를 뒤엎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또 외국 선사의 입찰 제한시 단가 인상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핵심 전략물자 운송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고 해운업계 입장에서는 억울한 측면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국내 선사들이 경쟁력을 키워 장기수송계약 등 대형 계약이 일본 등에게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말했다.<코리아쉬핑가제트>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