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2000년 119만 TEU에서 2003년 320만 TEU로 급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컨테이너의 1.5%에 해당한다. 인도 주요 항만의 2002년 취급 물량 3억 1,400만톤은 수입 1억 3,400만톤, 수출 9400만톤, 연안반입 4,800만톤, 연안반출 3,800만톤으로 구성된다. 인도의 철도운송 물량은 2005년(회계) 기준으로 6억톤에 이른다. 인도철도는 노후화되고 생산성이 낮다. 주요 화물은 석탄, 시멘트, 비료, 석유제품, 철강재, 강판 원료, 곡물 등 8개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철도화물의 89%에 달한다.
인도의 주요 컨테이너 항만은 자와하랄 네루, 첸나이, 투치코린, 콜타카, 뭄바이, 칸들라항이다.
도로는 인도 국내화물 이동의 67%를 점유하며, 점차 확대중이다. 100% 외국인 투자 분야를 허용하고 있고 투자 유인책으로 인센티브, 감세 및 건설 관련 수입품 면세 등의 혜택을 주고 있다.
인도의 도로는 뉴델리권, 서부 뭄바이권, 동부 콜카타권, 남부 첸나이권의 4대 산업권별로 구분되며, 산업권을 연결하는 기간망 건설을 우선적으로 추진 중이다.
인도 철도의 총연장은 8만 1,511km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며 국가기간 산업으로 국가에서 직접 운영 중이다. 이 중 전철화 구간은 15,994km이다. 철도운송물량의 48%가 석탄이다. 철도부문은 에너지부문과 함께 공공부문으로 지정되어 외국인 투자는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정부의 도로우선 투자정책으로 투자 상태는 부진이다.
|
|
▲인도 경제 주요 지표. |
|
인도 정부의 물류정책
인도 정부는 물류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성장 촉진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삼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각 운송 분야별 경쟁력 강화, 인프라 확충, 시설 현대화 등을 위한 예산 투자, 민영화 및 제도 개선을 통한 민간 자본 유치 등에 힘쓰고 있다.
인도 정부는 공공조직에 의한 각 운송부문별 시장 독점이 서비스 질과 비용 면에서 비효율이 심화된다고 판단, 구조조정 및 시장 개방을 통한 자유경쟁체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인도의 주요 해운 정책은 자국적 우선선취권제도 유지를 통한 자국 해운산업 육성, 조선 및 수리조선의 육성, 전문 해운 인력 육성과 투자제도 개선을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 등이다.
인도의 자국선 우선 적취제도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인도의 수출입 해상물동량은 2000년 이후 연 10%대의 증가율을 보여 왔다. 특히 컨테이너 화물은 지난 5년간 연평균 15%의 증가율로 급증해왔다. 원자재 및 에너지 등 주요 벌크화물 수송량도 지속적으로 증가, 인도가 원유 및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 확보에 적극 나서면서 세계 해운시장에서 인도의 영향력은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정부는 지속적인 수송수요 증가에 대비해 외국인 해운업 100% 투자 인정, 톤세제 도입, 중고선 수입 자유화 정책 등 대대적인 해운산업 활성화 정책을 펴고 있다. 시장 개방 확대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자국적 우선 적취권, 수출입 CIF 기준 운임정책 등 다양한 자국 해운업 보호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외국 선사들의 인도 시장 진출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인도 정부는 경제 성장과 수출입 물동량 증가에 따라 항만 수요 급증을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와하랄네루항, 첸나이항 등 거점항만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인도 정부는 항만민영화와 항만운영관련 제도 개선을 통해 글로벌 터미널 운영업체의 투자를 적극 유치하는 중이다. 인도는 기존에는 콜롬보, 싱가포르. 살라라 등 인접 거점항만을 통해 환적 되던 수출입 화물을 자국 항만을 통해 처리한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었지만 향후 동시다발적인 항만 개발이 예상된다. 인도의 주요 내륙물류정책은 도로와 철도의 인프라 확장, 민간투자 활성화, 시설의 관리와 운영 현대화 등이다. 특히 도로 인프라의 경우, 북동지역과 배후지역 연계망 구축을 최우선시하고 있으며 관련 조세제도 및 환경 규제 등의 세부적 사항도 신설 중이다.
인도의 물류시장은 2004년 950억 달러규모에서 2008년 167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5% 이상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단순 물류서비스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해왔으나, 제조업 성장 및 글로벌 물류업체 진출에 따라 물류서비스 아웃소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인도 3PL 시장은 중장기적으로 서비스 다양화, 서비스 특화, 국제네트워크 확장, 아웃소싱 증가 등 시장 확대 및 고도화가 예상된다.
물류수요 증가와 시장 개방에 따라 글로벌 물류기업들의 인도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은 국제운송뿐만 아니라 인도 국내운송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들 글로벌 물류기업들은 단기적으로는 인도의 잠재적인 소비시장 공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인도의 제조업 기반이 확대되어 글로벌 생산기지로의 역할을 본격화할 것에 대비해 인도의 물류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이런 배경 하에 국내 기업들의 분야별 진출 필요성을 검토해보면 다음과 같다.
해운
인도 해운 시장은 FDI(외국인 직접투자)를 100% 허용하고 2004년부터 톤세제도를 실시, 외국선사의 투자를 유인하고 있다. 또한 중고선 수입 자유화, 선박 감각상각율 인상, 신조선 취득용 특별적립금 조세 공제 등의 활성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자국 해운산업 보호정책, 자국선 우선적취권(정기화물의 40% 인도선사 수송, 정부화물배정)등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항만
항만 인프라의 낙후성과 부족, 관료주의적 항만 운영, 낮은 항만 생산성과 배치의 비효율성, 강력한 노조
주요 현안과 과제-항만시설의 조기 확충 및 현대화, 항만 관리 및 운영의 현대화 및 민영화, 안정적 노사관계
진출방안-기확보 네트워크의 확대(해운에서 항만,CY,CFS로, 현지사무소에서 포워더압창고, 국제특송, CY, CFS로 ), 항만 민영화에 참여 검토, 신규 항만건설에 참여 검토
포워더업
투자환경-우리 제조기업의 인도 진출 확대, 우리나라와 인도 교역 확대, 종합물류 서비스 미비, 인도내 대기업의 자가물류
주요현안과 과제-포워더업은 통관대리업 면허를 필요 요건으로 함, 인도 전역에 약 3000개 시업(뭄바이지역 1400개 기업), 복잡한 통관 절차 및 서류 작업
진출 방안-현지 포워더 기업에 대한 인수 검토, 인도에 진출한 우리 제조기업에 대한 물류서비스 범위를 점차 확대, 전문물류기업의 현지 진출 검토
창고업
투자환경-인도 경제의 개방화로 창고 부문에 민간기업 진출 확대, 창고의 자동화,정보화가 진행 중
주요 현안과 과제-주요 국영. 공영 창고기업이 많으면 인도 창고기업의 종합물류기업화가 진행 중
진출 방안-현지 창고기업과 위수탁 계약 등을 통한 제휴 필요, 신규 시설 및 장비 투자는 신중한 검토 필요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