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3-31 09:27
해운시황이 호황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복합운송업체(포워더)들은 국내 중소 무역업체들 상당수가 중국이나 동남아지역으로 공장을 이전함으로써 주고객의 화물유치가 갈수록 힘들어 지고 있다. 무등록업체까지 합치면 수천개에 이르는 복합운송업계는 날로 집화경쟁은 심화되고 있으나 물량이 한계점에 달해 속앓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현재 개점휴업상태인 복운업체들의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수천개 복운업체 가운데 경쟁력있는 서비스를 통해 규모있는 회사경영을 하고 있는 업체가 과연 얼마나 될지는 미지수이지만 그리 많지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
복합운송주선업은 이제 국제물류에 있어 주력 업종이라 할 수 있다. 물류산업에 있어 복합운송업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업종의 낮은 인식도에 비해 매우 크다.
그러나 복운업계에 대한 정부의 인식수준이 매우 낮고 그 중요성에 비해 정부의 육성 지원책 역시 미미하기 그지 없다.
정부가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인 종합물류업 인증제 도입에 앞서 중소물류업체로 분류되는 복합운송업체들에 대한 별도의 지원책을 업계에선 강력히 요구하고 있으나 관계당국에선 아직 이렇다할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복운업계가 계속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통관업 허용문제도 매년 이슈가 되기는 하지만 흐지부지상태로 해를 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최근 해운법 개정법률안에 해상화물운송주선업 신설을 공식화하고 있다.
건교부가 화물유통촉진법을 제정해 복합운송주선업종에 해상화물운송주선업을 흡수했지만 해양수산부 입장은 해상화물운송주선을 위주로 하는 포워더의 경우 해운법상에 명시해 관리돼야 한다는 입장인 듯 하다.
이와관련 건교부측에선 해양부가 해운법개정안에 해상화물운송주선업 신설과 관련 의견조회가 있을 시 강력히 반대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글로벌 경쟁시대에 우리 복합운송업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정책이 무엇인지 곰곰이 되새겨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복합운송업계가 무엇을 원하는지 업계와의 충분한 의견교환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복합운송업체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매번 반복되는 얘기지만 일관운송이 가능하도록 통관을 비롯, 보관, 하역 등 물류서비스에 대한 주선업무의 전면적인 허용이 절실하다.
복운업체들간에는 영세성과 과당경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업체간 전략적 제휴나 대형화가 적극 추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물류업 인증제 도입과 함께 복합운송업계도 제도적으로 새롭고 발전적인 재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