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9-18 17:29
중소제조업체 26%는 업종 전환 계획중
(서울=연합뉴스) 중소 제조업체 10곳 중 4곳 가까이가 생산시설을 해외로 이전했거나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2-3곳은 업종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가 375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37.9%가 생산시설을 해외로 이전했거나(7.2%) 이전하는 방안을 계획 중(30.7%)이라고 답했다.
이미 이전한 업체 중 85.2%는 중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했으며, 이전을 계획한업체들 중에서도 중국으로 이전하겠다는 업체가 73.9%에 달했고 동남아로 이전하겠다는 업체가 17.4%로 뒤를 이었다.
해외이전을 계획하고 있는 업체들의 이전시기는 1∼2년 이내가 61.7%로 가장 많았고 3-4년이내 27.8%, 5년이후 10.4%를 각각 차지했다.
이전 부문을 묻는 질문에는 이미 이전한 업체들의 경우 단순 생산부문을 이전했다는 업체가 81.5%를 차지했다.
반면 이전을 계획 중인 업체 중에서는 단순생산부문을 이전하겠다는 업체가 66.1%로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고 핵심부문을 제외한 전 생산부문을 이전하겠다는 업체가 19.1%, 연구개발 등 핵심부문까지 이전하겠다는 업체가 14.8%를 각각 차지했다.
업체들은 해외이전의 동기로 비용절감을 우선적으로 꼽았고 이 밖에 인력난, 해외시장 개척 및 확보, 대립적 노사관계, 국내정책의 불확실성 등을 들었다.
산업공동화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향후 4∼5년 이내에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전체의 54.7%를 차지했으며 `공동화현상 발생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응답한 업체는 전체의 1.9%에 그쳤다.
산업공동화를 방지하기 위한 정부정책으로는 대립적 노사관계 해소 및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44.5%)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외에 대체산업 육성 및 산업의 고부가가치화(20.8%), 고비용구조 개선(14.7%), 규제완화(6.4%), 인력수급 원활화(5.9%) 등을 들었다.
한편, 응답업체 중 타업종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업체는 전체의 25.9%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들 기업중 39.2%가 서비스업종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
업종전환의 이유로는 사업전망 불투명(32.0%), 수익성 악화(24.7%), 제조업 기피(16.5%), 경쟁력 상실(9.3%), 업종의 사양화(8.2%) 등을 들었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