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8-02 14:25
심천을 중심으로 한 중국 화남지역의 화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KMI에 따르면 1980년대 홍콩의 주요 수출산업이 중국 화남지역으로 이전을 시작한 이래 1990년대 들어 대만, 일본을 필두로 선진국과 동남아 국가들이 생산기지를 중국 화남지역으로 이전함에 따라 현재 심천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의 화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심천이 주하이와 함께 1980년대 초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경제특구로 지정된 이래 중국 화남의 산업지역은 인근 광주, 동구안을 중심으로 한 주강델타지역으로 확대돼 왔다.
중국 화남지역으로의 급속한 생산거점 이전은 홍콩을 국제물류중심지로 발전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 왔으나 최근 들어 심천지역 항만들의 급부상에 따라 홍콩항의 지위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2001년 홍콩항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전년대비 1.5% 감소한 1,783만 TEU에 그쳐 1,800만 TEU에서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보이는 반면, 1994년 이후부터 운영에 들어간 심천 3개항(Yantian, Chiwan, Shekou)의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2001년 570만 TEU로 세계 8위의 컨테이너항만으로 부상했으며 2002년에는 620만 TEU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심천지역 항만들이 급부상하는 원인은 첫째, 홍콩을 경유하지 않았을 경우의 경제적 이점과 둘째, 중국의 개방정책 진전 및 WTO가입에 따른 중국항만의 편의성 향상 때문이다.
먼저 경제적 측면에서 홍콩을 경유하지 않고 심천항을 이용하는 경우의 상대적 비용은 공장에서 터미널까지의 육상운송 코스트에 의해 결정된다. 해상운임은 심천항이 홍콩항보다 약간 높지만 항만 내 화물처리비용(THC)은 홍콩항이 높아 비용차이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선전과 동구안에서 육상으로 항만까지 수송되는 화물의 경우 심천지역 항만에서 직접 선적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유리한 반면 주강델타지역 화물은 트럭에 비해 요금이 훨씬 저렴한 바지서비스로 연결된 홍콩항에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수송비 측면에서 볼 때 바지수송에 의존하는 주강델타의 서부지역 화물은 홍콩항을, 기타지역 화물은 심천지역 항만을 이용하는 것이 저렴하다.
한편 편의성의 측면에서 종래 중국 내 통관은 특히 수입화물의 경우 밀수방지를 위한 중국당국의 엄격한 통제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됐다. 그러나 WTO가입에 따라 중국 통관시스템도 편의성이 크게 제고돼 현재는 심천지역 항만들의 통관소요시간이 평균 3일로 단축됐다.
이에 따라 상시 출하되는 장거리 화물은 심천에서 선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신속한 수송을 요하는 화물 및 아시아 역내 교역은 홍콩항을 이용하는 것이 심천, 동구안 지역 하주들의 일반적 물류전략이다.
향후에도 세계교역의 증가 및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해외직접투자의 증가로 화남지역에서 발생하는 화물량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심천항은 연평균 25%의 물량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홍콩의 처리물량은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보여 2005년에는 심천지역 3개항의 처리물량이 홍콩 카이청터미널의 취급물량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