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6-29 13:41
전자카탈로그 국가표준 마련 시급
조달청, 정부물품 물자관리 적극 지원할 계획
재단법인 한국유통정보센터,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이 주최하고 산업자원부, 정보통신, 조달청, 대한상의, 한국전자거래협회 등이 후원한 “전자카탈로그 개통식 및 기념세미나"에서 조달청 목록정보사업팀은 ‘전자상거래(G2B) 추진을 위한 컨텐츠 구축 방향'에 대해 주제발표,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동 주제발표내용에 따르면 전자카탈로그의 표준화 필요성을 먼저 강조했다. 전자카탈로그의 표준화는 글로벌 전자상거래에 필수적인 수단으로 전자문서 표준화, 전자지불, 인증, 보안의 표준화 그리고 거래형태, 전자서비스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참고로 e-Catalog(전자목록)은 모든 물품에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고유의 인식코드를 부여하고 그 물품의 성능, 특성치(규격) 및 생산자 등 자료를 체계해 전산화한 것이다.
한편 정부부문 및 민간분야의 체계가 상이해 국가경쟁력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부문의 경우 전자목록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의 분류 및 식별체계가 없으며 상품분류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정식별번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CALS(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에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정부·민간부문달라 국가경쟁력 낭비
민간부문의 경우 국내기업의 표준화된 전자목록이 없으며 기업별로 독자적인 전자목록을 구축해 사용하므로 품명 표기방법, 분류체계, 특성항목들이 각양각색이라는 것이다.
전자카탈로그의 개선대책과 관련, 국가표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부문과 민간분야에서 함께 사용가능한 새로운 분류체계가 필요하며 새로운 분류체계의 개발은 시간과 비용을 고려시 불가능하며 기 개발된 분류체계를 보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산업계의 손실 최소화도 지향해야한다고 언급했다. 마켓플레이스별 전자목록을 구축하고 중복적인 코드체계 구축으로 인한 낭비를 축소하는 한편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고 상품의 생산, 판매, 수급에 효율성을 제고토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국제적인 표준코드와 호환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조달청의 목록정보제도의 문제점을 보면 우선 물품분류에 대한 국가표준코드가 없다. 품명식별기준도 취약하다. 분류체계상 품명위주로 돼 있어 검색시 혼란이 야기되고 사전에 마련된 객관적인 식별기준이 없다는 지적이다. 목록품명의 미흡도 제기됐다. 목록제도의 적용상 정부물자로 제한하다 보니 목록화된 품명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조달청은 향후 미래지향적이며 국제적인 국가표준 목록제도로 도약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조달청 목록제도의 국가표준화를 위한 최적모델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민간부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코드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달청의 목록코드는 품명위주의 검색으로 분류 및 식별이 혼용돼 있어 국제적 분류기준과 상이하다는 것이다.
EAN/UCC(GDAS) 코드와 상호연계로 국제적 호환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누구나 사용하기 편리한 검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종합전자상품전시관을 개설한다는 방침이다.
조달청은 전자입찰제도에 적합한 e-Catalog를 지속적으로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조달 e-Mall을 지원해 쇼핑품목을 모든 조달품목으로 확대하여 금년에 1만2천개 계획, 완료할 예정이다.
국내업체의 물품코드표준화를 유도해 조달청 물품구매와 관련이 있는 민간부문에 활용을 유도하고 무상사용을 허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물품의 물자관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조달청측은 밝혔다.
정부물품의 효율적인 물자관리가 가능토록 물품의 표준화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 목록코드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목록대상 품목도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수요 생활용품까지 확대(국방부 수요물자에 대해 조달청에서 구매케 됨에 따라 비누, 식료품 및 일상잡화의 구매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는 것이다.
이밖에 한국건설기술원과 시설자재목록에 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에너지관리공단과 에너지기자재 목록화에 협조한다는 계획이다. 전자상거래조합과도 협약을 추진할 방침으로 있는데, 협약성과 및 장단점등을 고려 필요시 오는 10월까지 협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