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항을 포함한 국내 주요 항만에서 로스앤젤레스(LA)·롱비치(LB)항의 청정대기행동계획(CAAP)을 본보기로 삼아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해양환경 대책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안용성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연구위원은 지난 20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제1회 인천국제해양포럼 둘쨋날 행사에서 이 같은 주장을 피력했다. 안 부연구위원은 “현재 정부는 해양 환경 개선을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대내외적으로 긴급한 현안 문제에만 대응하다 보니 급급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 항만환경정책의 허점을 지적하며 국내 항만환경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로 해양환경과 관련된 정확한 기초자료 수집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단적인 예로 LA·LB항의 CAAP 정책을 꼽았다. 두 항만의 CAAP 정책 시행 이후 2007~2009년 시기에 미세먼지 배출량이 현저하게 하락했다는 게 안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그는 “이 시기에 미국의 금융 위기가 발생한 탓에 항만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미세먼지 배출량도 하락한 측면도 있지만 CAAP 기반 체계적인 기초조사도 한몫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보통 항만 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의 주된 요인을 꼽으면 선박과 하역 장비를 논하는게 일반적인 상식”이지만 “두 항만의 경우 희한하게 하역장비보다 화물트럭의 미세먼지 배출량이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그 결과 두 항만은 ‘클린트럭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항만 내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인 성과를 보였다는 게 안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안 부연구위원은 “앞으로 사물인터넷(Iot)의 유무선 센서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빅데이터 수집 등이 이뤄진다면 보다 더 체계적인 기초자료 수집을 통해 새로운 해양환경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韓·中 미세먼지 협력 ‘청천계획’ 항만영역까지 확대될 수도
이날 행사에서 한중 대기협력사업을 뜻하는 ‘청천계획’이 항만 영역에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남상민 유엔에스캅 동북아사무소 부대표는 “최근 중국 독일을 포함한 전 세계 주요국들은 항만 대기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종합 대책을 꾸준히 마련하고 있다”며 “이러한 맥락을 고려해 보면 미세먼지을 둘러싼 한중 간 대기 협력사업이 항만 영역에까지 확대되는 건 시간 문제”라고 말했다.
남 부대표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선박 대기오염문제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중국 측은 지난 2018년 미세먼지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3개년 계획을 수립해 실행했다. 그 결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 72개 도시의 미세먼지가 약 35% 저감되는 성과를 나타냈다.
남 부대표는 “중국 정부는 지난 2017년부터 항만 시설 대기오염 방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이 집행되고 있다”며 그린포트, 육상전원공급, 에너지 대책, 월드클래스 항만시설 등을 대표적인 예시로 꼽았다.
그는 “독일 함부르크항도 지난해 채택된 미세먼지 종합 대책을 통해 항만시설 미세먼지 관리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며 “선박 배출 기준이나 배출 제한 구역 확대 등을 글로벌 5대 항만 대상으로 본격 시행하고 있고 항만 하역 설비도 액화천연가스(LNG)로 교체해 전체적인 오염도를 줄이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남 부대표는 글로벌 해양 폐기물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동북아 지역 차원에서 이것들이 어떻게 발생되고, 어떻게 이동되며, 어떠한 환경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분석이 없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최근 3~4년 간 해양 폐기물과 마이크로플라스틱에 대한 보고서는 11개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단지 정부나 특정 기관이 아닌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양 환경 보존을 위한 더욱 끈끈한 국제공조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 홍광의 기자 kehong@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