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자율운항선박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 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두 부처는 공동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6년간 1600억원을 투입해 미래 조선·해운산업을 견인할 자율운항선박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을 융합한 지능화·자율화 시스템을 통해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거나 대체하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자율운항선박의 자율화 단계를 ▲선원 의사결정 지원(1레벨) ▲선원 승선 원격제어(2레벨) ▲선원 미승선(최소인원) 원격제어와 기관 자동화(3레벨) ▲완전무인 자율운항(4레벨)으로 규정했다.
정부는 대양을 항해하는 선박은 IMO 3등급, 연안 항해 선박은 IMO 2등급 수준의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해운업계는 자율운항선박이 도입되면 최적운항경로 탐색, 인적 과실로 인한 사고 감소 등으로 선박 운항의 경제성과 안전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선박사고의 80%가 인적 과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업계는 자율운항선박이 상용화되는 2025년께 선박과 기자재 등 관련 시장 규모가 1550억달러(약 188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인 지능형 항해시스템과 기관 자동화시스템, 통신시스템, 육상운용시스템을 개발하고 국제 항해가 가능한 실제 선박을 대상으로 실증시험을 벌여 상용화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자율운항선박 통합 성능 검증을 위한 성능실증센터를 울산 고늘지구에 구축하고 향후 25m급 시험선과 중형급 상선 등 단계적 실증과정을 통해 지속적인 실적(Track Record)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 국제경쟁력 강화와 기술 선점을 위해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기술의 국제 표준화도 동시에 추진할 예정이다.
기술 개발과 더불어 연내로 실증선박을 운영하는 선사를 선정해 건조와 실증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개발 초기단계부터 기술개발과 건조 일정을 조율해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병행해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17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내에 설치된 통합사업단은 부처 간 원활한 협력을 이끌어내는 임무를 벌이게 된다.
자동화 플랫폼 개발과 실증 관련 사항 등 산업부 소관 과제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가, 운용기술 개발과 표준화 관련 사항 등 해수부 소관 과제는 한국선급이 각각 총괄기관으로 선정돼 통합사업단을 구성했다.
박준영 해양수산부 기획조정실장은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해운업계도 앞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며 “기술개발뿐 아니라 조속한 상용화를 위해 항만 인프라 구축, 관련 규제 개선 등을 적극 지원해나가는 한편, 2025년 이후에는 4수준에 해당하는 완전 무인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을 위한 후속사업도 기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이경희 기자 khlee@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