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콜드체인 물류시장이 뜨겁다. 웰빙문화 확산과 수산물 소비의 폭발적인 증가로 콜드체인 유통 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2015년 1600억달러대였던 전 세계 콜드체인 시장 규모는 2020년 2300억달러대로 커질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신선물류 시장 규모 역시 2012년 22조원에서 2020년 40조원으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냉동식품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신선채소 과일은 연평균 상승률이 7%를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전망은 매우 밝은 콜드체인 시장에 물류기업이 뛰어들고 있지만 정작 관장하는 주무부처는 찾아볼 수 없다. 컨트롤 타워 부재로 콜드체인 물류와 관련한 정책들이 하나둘 늦춰지고 있는 셈이다. 지난 14일 국제물류협회 연수실에서 열린 '콜드체인 운송서비스 진출 강화방안' 세미나에서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정명수 회장은 국내 콜트체인 물류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주무부처가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콜드체인 물류와 관련한 국가표준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단체표준은 중소기업벤처부, 농산물은 농림축산식품부, 수산물과 해외운송은 해양수산부, 국내운송은 국토교통부가 각각 맡고 있다. 정 회장은 "업무 분류와 취급 품목으로 세분화된 과제를 가지고 해당 부서를 방문하고 있지만, 콜드체인 물류를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주무부서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콜드체인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여러 기관에서 관리되고 있는 과제들을 한 곳에서 맡을 수 있는 주무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콜드체인 창고 통계가 불확실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해양수산부가 수산물 품질법에 따라 관리하는 창고는 전국에 688곳이나 된다. 물류창고업으로 등록돼 국토교통부 관리 아래 운영 중인 창고는 305곳이다. 식품위생법과 축산물 위생법으로 등록된 창고도 각각 425곳 400곳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법에서 정한 창고 기준과 최소 크기가 달라 정확한 콜드체인 창고의 수요가 불확실하다. 정 회장은 "각 부서에서 관리하는 창고의 법률이 모두 달라 정확한 수요 측정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정명수 회장이 주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
콜드체인 시설부족으로 7500억弗 규모 식량손실 발생
현재 전 세계 식품시장 규모는 6조773억달러에 달한다. 이중 매년 7500억달러 규모의 식량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인프라 낙후로 농수산물의 부패 손실률이 30%에 달한다.
우리나라의 일일 음식물 쓰레기 역시 1만4천t에 육박한다. 콜드체인 시설부족, 종사자 교육미비, 위생처리 과정 과오 등으로 전체 식품 중 약 12%가 음식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 회장은 콜드체인 최우선 운영조건으로 신선도 유지(온도 일치)를 꼽았다. 그는 "적정온도를 어떻게 맞추느냐에 따라 신선도가 결정된다. 공급자가 아닌 소비자 입장에서 온도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콜드체인 운영 조건으로 신선도 유지와 잔여 유효기간 준수, 적절한 포장, 청결유지 및 예냉, 연속적인 온도 측정 등을 꼽았다. 또한 콜드체인 사업 주요 조건으로는 경영목표와 조직, 전문인력, 업무표준화, 시설과 설비, 운영시스템, 정기적 검토 및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콜드체인 물류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은 식품손실을 줄이기 위해 식품안전법률을 2009년에 제정했다. 수산물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산업 성장이 예견되고 있다. 2016년 106조원였던 시장 규모는 2018년 400조원으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의 온도 모니터링 기술과 정보시스템, 기타 기술 서비스가 발전하지 못한 점은 콜드체인물류의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의 신선제품 손실률은 선진국(5~10%)과 비교해 매우 높은 20~30%에 이르고 있다.
중국 시장진출과 관련해 안정적인 유통·물류 채널이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CJ대한통운 김용철 연구원은 對중국 신선식품 수출 애로사항으로 ▲비관세에 따른 안전규정 강화 ▲통관절차·시간 과다 소요 ▲냉장·냉동창고 및 운송차량 부족에 따른 제품손상 등을 들었다. 안정적인 유통망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물류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중국의 1인당 냉동·냉장창고 용량과 차량은 선진국 대비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다. 청과류와 육류, 수산물 등에 대한 콜드체인 유통비율도 다른 국가들에 비해 떨어지는 수준이다. 김 연구원은 "농수산품의 부패 손실률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신선식품 증가에 따른 인프라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