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형 선사들이 실적악화에 제동을 걸기 위해 자본정책을 잇따라 내세우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NYK는 컨테이너선, 벌크선의 손실 처리를 실시했으며 다음 분기 이후 비용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MOL도 어느 정도의 자본성이 인정되는 하이브리드·론을 조성, 신용 및 재무 체제를 유지한다.
금융기관의 대출 금리는 과거 최저 수준에 가까우며, 케이라인도 경쟁력 높은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 해운 시황의 역사적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해운 대기업은 ‘부의 유산’을 척결하고 다음 분기를 위한 재무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
NYK는 일관된 시황 침체 속에서 정기 용선의 도중 해약에 대해 부정했다. NYK 관계자는 “회계사의 판단에 따라 자사선의 감손 손실을 계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 금기 중 컨테이너선, 벌크선, 항공기를 대상으로 1950억엔의 손실 처리를 계상한다. 손실 내용은 컨테이너선 1000억엔, 드라이선 850억엔, 항공기 100억엔이다. 시즌 이후 감가상각비 감소로 자본비의 비용 부담이 줄어든다.
NYK의 감손은 현금 유출은 없지만, 자기 자본이 감소하기 때문에 자기 자본 비율은 6월 말 시점의 34%에서 26% 전후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연간 4엔 예정이었던 배당에 대해서도 미정인 상태다.
MOL은 전기 말에 약 1800억엔의 구조 개혁 비용을 계상했다. 순손익이 악화되면서 자기 자본 이율은 23%까지 하락했다. MOL이 금기에 조성한 1000억엔의 하이브리드·론은 신용 평가 기관이 어느 정도 자본성을 인정할 수 있다.
MOL의 이번 자금 조달에 대해 해운업계 관계자는 "매우 시기가 좋은 자금 조달이다. 금리가 과거 최저라는 것을 생각하면, 장기 차입이라도 금리 부담은 적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MOL은 신용을 잃지 않기 위해 그룹 기업을 포함한 연결 기준 최종 흑자가 필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MOL 자체는 전기까지 감손됐으나, 그룹 기업 중에는 시황침체로 실적 악화에 시달리는 회사도 있다.
케이라인은 현재 새로운 자금 조달은 표면화되지 않았다. 향후 LNG(액화천연가스)선의 건조 등으로 자금 수요는 상응한다. 금융시장은 저금리 상황이기 때문에 대출을 받을 타이밍이라는 시각도 있다. 만약 케이라인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새로운 차입을 하더라도 발표할 필요는 없다.
대형 선사는 컨테이너선, 벌크선의 동시 불황에 직면하고 있다. 수익력이 높았던 자동차선 사업도 중동 산유국, 아프리카의 경기 악화로 운임이 침체되고 있다.
해외 선사들은 기간 손익과 재무 기반이라는 두 가지 과제에, 동시 병행으로 대응하도록 요청받고 있다.
< 외신팀 >
0/250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