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올해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목표를 2441만TEU로 정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지난해 2344만TEU보다 97만TEU(4.1%) 많은 것으로 매월 평균 8만TEU 이상을 더 처리해야 가능하다. 세계경제 회복지연 등 불확실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환적화물 유치에 힘쓰겠다는 의지를 내보인 셈이다.
주요 항만별로는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담당하는 부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1825만TEU를 목표로 수출입화물은 905만TEU(1.4%↑), 환적화물은 920만TEU(5.2%↑)를 각각 처리할 계획이다.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9.7%를 처리하는 광양항은 개항 이래 최고인 245만TEU(7.6% 증가) 달성을 목표로 했다. 정부는 1만TEU급 이상의 초대형선 기항과 연계해 광양항에 신규 원양항로 개설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환적화물을 적극 유치할 방침이다.
전체 물동량의 9.2%를 차지하고 있는 인천항도 전년 동기 대비 8.7%가 늘어난 234만8천TEU를 달성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200만TEU를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2011년 이후 3년 연속으로 매년 50만TEU 이상을 처리한 평택·당진항도 중국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전년 대비 1.3% 증가한 52만5천TEU를 처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화물별로는 수출입 화물은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에 따라 대다수 품목의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엔저효과 및 원-달러 환율 하락 등 부정적 요인을 고려하면 전년보다 2.7% 증가한 1431만TEU 수준을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2013년 실적 및 2014년 목표 처리량 |
환적화물은 P3출범으로 촉발된 초대형 글로벌 얼라이언스(G6, CKYH+Evergreen 등) 출현 등 해운항만 여건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6.7% 늘어난 993만5천TEU를 목표로 했다. 글로벌·국적 선사의 부산항 및 광양항 추가 기항과 이곳에 조성된 항만배후 물류단지의 본격 운영 등의 요인이 고려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환적컨테이너에 대한 화물 입출항료 면제정책을 유지하기로 했다. 또 부산항 신항 항로증심(15→17m) 준설 등 항만인프라도 제때 개선할 계획이다.
컨테이너항만들도 정부 정책에 맞춰 물동량 증대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와 마케팅전략을 준비하고 있다. 부산항은 인센티브와 글로벌 선사 맞춤형 마케팅, 선사 얼라이언스별 특화마케팅으로 부산항 환적화물을 추가로 유치하는 한편, 일본·중국 등 전략지역 화주·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 유치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광양항은 권역별로 대형화주를 대상으로 한 타깃마케팅과 배후단지 입주기업과의 연계마케팅, 중소형 신규화주 발굴 및 초대형선사 공략 등의 전략으로 컨테이너항만 활성화에 힘쓰기로 했다. 또 여수석유화학단지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해 위험물창고와 탱크세척시설 등 화물창출형 인프라를 구축해 자체물동량을 확보하는 데도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인천항은 신규 항로 개설, 화주 포워더 인센티브 지급 및 타깃마케팅을 통해 수출화물 증대를 꾀한다. 평택·당진항은 카페리 신규 항로를 개설과 배후단지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김창균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세계경기 회복세와 대내외 경제전망을 고려하면 올해 수출입물량은 지난해 수준의 증가세를 유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며 “적극적인 환적화물 유치와 다각적인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노력으로 목표물동량을 달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최성훈 기자 shchoi@ksg.co.kr >
많이 본 기사
0/250
확인